경제·금융 공기업

조환익 한전사장 "에너지 신산업 올 6조9,000억 투자...'에너지분야 삼성' 포부"

[서경이 만난 사람]

조환익 사장은 지난달 ‘조환익의 전력투구’라는 책을 냈다. 그의 책에는 만년적자 기업이라는 꼬리표를 달고 있던 한전에 9회 말 투수로 등판해 기적처럼 회사를 부활시킨 성공 스토리가 담겨 있다.


실제로 그의 취임 이후 지난해 한전은 11조원이라는 사상 최대의 영업이익을 거뒀고 2만원대에서 게걸음을 하던 주가도 6만원을 웃도는 블루칩으로 탈바꿈했다.

관련기사



“전쟁터의 무사처럼 한순간도 갑옷을 벗지 못하고 긴장 속에서 지내왔다”고 할 정도로 한전 사장을 맡은 지난 3년은 혼신의 힘을 쏟은 기간이었다고 그는 회고했다.

조 사장은 최근 ‘에너지 신산업의 전도사’를 자처하고 있다. 저출산·고령화와 주력산업 침체 등 활로가 보이지 않는 한국 경제의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빅뱅’을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는 지론이다. 조 사장은 “에너지 신산업이라는 태풍은 지금 산업 전반을 강타하고 있다”며 “에너지 빅리그에 출전한 팀 코리아도 이제 세계 에너지 시장을 향해 강속구를 던져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지난해 말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1) 이후 세계 에너지 시장은 급박하게 돌아가고 있다. 특히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세계 7위에 달하는 우리나라는 온실가스 감축이라는 지상과제를 신산업 육성으로 돌파해야 하는 상황이다. 조 사장은 “에너지 신산업은 초기에 막대한 투자비용이 들어가며 투자비의 단기 회수가 어렵다”며 “신산업 창출 초기에 한전 같은 에너지 공기업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 것도 이 때문”이라고 말했다. 실제 한전은 에너지 신산업의 생태계를 국내에 조성하기 위해 올해 투자비로만도 6조9,000억원을 쏟아붓고 있다. 조 사장은 “에너지 신산업과 전력산업의 해외진출이라는 두 마리 토끼 중 어느 하나도 포기할 수 없다”며 “에너지 분야의 삼성전자가 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박홍용기자

박홍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