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2금융권 대출, 1997년 외환 위기 이후 최대

1분기 여신 잔액 660조

작년 말보다 23조 증가

올해 1·4분기 가계와 기업이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으로부터 빌린 돈이 외환위기 이후 최대치를 경신했다.

1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비은행금융기관의 대출금·매입어음 등 여신 잔액은 660조3,000억원으로 지난해 말(636조8,000억원)보다 23조5,000억원(3.7%) 증가했다. 분기별 증가폭은 대규모 구조조정으로 급전이 필요한 국민들이 2금융권에 앞다퉈 손을 벌렸던 1997년 4·4분기(24조4,000억원) 이후 18년 3개월 만에 가장 많았다. 특히 1·4분기 증가 속도는 지난해 연간 증가폭(53조9,000억원)의 43.6%에 달했다. 비은행금융기관에는 저축은행·종합금융사·신용협동조합 등이 포함되고 대부업체는 들어가지 않는다.


이는 올해 2월부터 제1금융권의 대출심사가 강화된 데 따른 ‘풍선효과’ 탓이다. 정부는 수도권 내 1금융권의 주담대 심사에서 소득심사를 강화하고 원리금 분할상환을 의무화하는 ‘여신심사 선진화 가이드라인’을 발표하고 5월부터는 전국으로 확대했다.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급전이 필요한 저소득층이 1금융권에서 돈을 빌리지 못하자 2금융권 대출로 몰린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세부적으로 종합금융사의 여신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3월 말 현재 잔액은 11조9,000억원으로 지난해 말(10조6,000억원)보다 1조3,000억원(12.3%) 급증했다. 저축은행도 37조7,000억원으로 3개월 사이 2조1,000억원(5.8%) 늘었고 신협이 4.1%, 상호금융사가 2.3%, 새마을금고가 2.8% 순이었다.

저소득층이 2금융권 대출에 몰리고 있는 가운데 대출금리는 시중은행보다 월등히 높아 취약계층의 고통이 심화할 것으로 우려된다. 3월 저축은행의 일반대출 평균금리는 11.56%로 예금은행(3.5%)의 3배가 넘었다. 신협(4.66%), 새마을금고(3.95%) 등도 예금은행보다 높았다. 조 연구위원은 “취약계층의 비은행권 대출이 전체 가계부채 부실화의 뇌관이 되지 않도록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맞춤형 정책노력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