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전두환, "발포 책임 인정 안 해"... 음모론 제기

신동아 6월호 인터뷰, 발포 명령에 대해 "바보 같은 소리 하지 말라"

전두환 전 대통령이 5.18 민주화운동 당시 계엄령 발포에 대한 책임을 회피했다./출처=채널A 뉴스 화면 캡처전두환 전 대통령이 5.18 민주화운동 당시 계엄령 발포에 대한 책임을 회피했다./출처=채널A 뉴스 화면 캡처


전두환 전 대통령이 5·18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 발포 명령을 내린 적이 없다고 부인했다.

전두환 전 대통령은 17일 발간된 ‘신동아’ 6월호 인터뷰를 통해 5·18 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에 발포 명령을 내렸다는 책임론에 대해 “그때 어느 누가 국민에게 총을 쏘라고 하겠어. 바보 같은 소리 하지 말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전 전 대통령은 “당시 계엄군에 발포 명령을 내리는 것은 자신의 힘으로 할 수 있는 일이 아니었다”며 책임을 회피했다. 이어 그는 “어느 누가 국민에게 총을 쏘라고 하겠어. 대통령이 되려다 안 된 사람이 그런 모략을 주동하는 나쁜 소리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보안사령관은 정보·수사 책임자요. 보안사령관이 중앙정보부장 꺾고, 청와대를 꺾고 이렇게는(발포 명령을 내리라고) 절대 못 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전 전 대통령은 ‘역사적 책임감으로 사과할 의향은 없느냐’는 신동아 기자의 질문에 “광주에 내려가 뭘 하라고요”라고 반문하기도 했다.

동석한 그의 부인 이순자 씨는 “광주에 가서 돌을 맞아 5·18 희생자 유가족들의 오해와 분이 다 풀린다면 뭘 못하겠느냐”라고 하면서도 “모두가 전 전 대통령을 ‘5·18 책임자’라고 하는데 이걸(책임론을) 오케이 하는 건 별개 문제다. 목에 칼이 들어와도 아닌 건 아닌 거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이 씨는 1988년 백담사로 간 것에 관련해 “6·29 선언을 자기(노태우 전 대통령)가 했다고 하고, 우리를 쥐도 새도 모르게 죽여 버리는 건 아닌가 해서 빨리 백담사로 간 것”이라며 “무방비 상태에서 갔다. 분노했다기보다 무서웠다”고 말했다.

/주현정 인턴기자 hyunjeong1014@sedaily.com

주현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