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마지막 블루오션 아프리카가 열린다>인구증가·도시화·산업발전...상전벽해 阿, 21세기 기회의 땅으로

[정치 안정 발판 경제볼륨 확대]

원자재값 하락에도 5% 안팎 성장..에티오피아는 10% 질주

중산층 비중 늘고 12억인구중 청년 2억 '젊은 대륙' 매력도

韓과 교역 걸음마..정부, 금융지원 통해 기업 리스크 줄여야



‘드넓은 초원, 내전 등 정정불안, 자원은 많지만 가난한 나라, 만연한 부패….’

아프리카에 대한 일반적인 이미지들이다. ‘경제적 불모지에서 벗어나지 못한 위기의 대륙’ 정도로 요약된다. 하지만 이 같은 관념은 최근 크게 바뀌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아프리카 사하라 이남의 45개 국가는 지난 2010년 6.7%를 시작으로 2014년까지 줄곧 연 5% 내외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했다. 이달 25일부터 일주일간 우간다·케냐 등과 함께 박근혜 대통령이 방문하는 에티오피아의 경우 연평균 10% 수준의 고성장을 질주했다. 낡은 선입견에서 벗어나 아프리카를 다시 주목해야 하는 이유다. 김광수 한국외국어대 아프리카연구소 교수는 “우리가 아프리카의 경제적 변화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며 “상당수 아프리카 국가들이 정치적 안정을 바탕으로 경제 볼륨을 키우고 있는 만큼 우리 기업들도 기회를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2010년 이후 5% 안팎 성장=아시아 다음으로 큰 대륙인 아프리카의 인구는 12억명(2014년 기준)에 달한다. 인구가 불어나는 속도도 빠르지만 청년인구(15~24세)도 2억명이나 된다. 그만큼 젊은 대륙이다. 여기에 도시화도 급속도로 이뤄지면서 매년 3% 넘는 인구가 농촌을 떠나 도시로 이동하고 있다. 중산층 비중도 크게 증가해 오는 2020년 소비지출 규모가 1조4,000억달러에 이를 것이라는 IMF 전망도 있다. 경제성장률도 5% 정도로 꾸준하다. 올해도 4.3%(세계은행 전망)가 예상된다. 원자재 가격 하락 등으로 나빠진 세계 경제여건을 고려하면 높은 수치다.

관련기사



특히 주목할 부분은 케냐·에티오피아·르완다 등 상대적으로 비(非)자원국으로 분류되는 국가의 경제발전이 가속화되고 있는 점이다. 케냐의 수도 나이로비는 이미 ‘실리콘 사바나’로 불릴 만큼 기술창업이 활발하다. 앞으로 세계경제에서 차지하는 아프리카의 위상과 역할에 대한 긍정적 평가가 지배적인 데는 이런 변화가 한몫하고 있다.

서강석 KOTRA 실장이 17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아프리카 시장 진출 설명회’에서 ‘아프리카 시장 현황 및 진출기회’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권욱기자ukkwon@sedaily.com서강석 KOTRA 실장이 17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아프리카 시장 진출 설명회’에서 ‘아프리카 시장 현황 및 진출기회’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권욱기자ukkwon@sedaily.com


◇한국 수출·교역비중 1.5%에 그쳐=한국과 아프리카의 교류는 초보 단계다. 1960~1970년대는 냉전의 여파로, 1980년대는 실리외교로 아프리카는 우리 관심권에서 멀리 있었다. 그나마 아프리카와의 관계가 확대된 것은 우리의 해외 공적원조가 늘어난 2000년 들어서다. 하지만 확대 속도는 게걸음에 가깝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의 대아프리카 수출은 75억달러에 그쳤다. 전체 대비 1.4%다. 최대치였던 2011년(144억달러)과 비교하면 오히려 절반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교역비중도 1.6%에 그치고 있다. 이재훈 SGI컨설팅 대표는 “아프리카가 1차산업에 대한 의존을 줄이고 제조업 등으로 경제구조를 다양화하고 있다”며 “이런 변화에 맞춰 아프리카와 교류를 확대해나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금융 등 맞춤형 지원 필요=아프리카가 바뀌고 있지만 리스크는 여전히 크다. 군사독재국가가 많고 부족 간 갈등도 빈번해 정책 일관성이 떨어지는 점은 유념해야 한다. 이는 계약 파기 등으로 연결될 수 있어 중견·중소기업에 치명적일 수 있다. 환전과 송금 등에 제한이 걸릴 가능성도 크다. 역으로 보면 정부가 낮은 정보 접근성, 금융지원 등에서 역할을 해줘야 한다는 의미다. 정지선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전문연구원은 “해외 개발 금융기관 등과의 협조융자는 아프리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를 낮추는 수단이 된다”며 “정부가 보호막이 돼줘야 한다”고 말했다. /세종=이상훈기자 shlee@sedaily.com

이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