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S&P "중국 경제성장률 반토막나면 한국 타격 세계 3위"

칠레와 대만에 이어 세번째로 충격 커

국가신용등급 1개 등급 하향조정 예상

사진=이미지투데이사진=이미지투데이




국제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반 토막 나면 한국은 전 세계에서 세 번째로 강한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18일 S&P가 최근 발간한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반 토막 나면 전 세계 신용등급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보면 내년부터 2020년까지 중국의 실질 경제성장률이 연평균 3.4%로 떨어질 경우를 가정했을 때 한국은 칠레와 대만에 이어 세 번째로 충격이 클 것으로 추산됐다. S&P가 성장률 영향을 분석한 대상 국가는 세계 29개국이며, 2017~2020년 평균 6%로 추정되는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국제유가 급락과 투자 급감, 위안화 절하와 그에 따른 중국 경제의 세계 경제 성장 기여도 축소 등으로 반 토막 났을 때를 가정한 것이다.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이 1개 등급 하향조정되고 금융기관 60%와 기업 54%에서 신용등급이 하향조정될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극단적인 상황을 가정한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이나 중국 경제의 성장세가 둔화되고 부채가 급증하는 등 불안한 경제 상황을 보이는 가운데 나온 결과여서 주목을 받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는 기업과 소비자심리가 위축되며 신흥시장에서는 자본 유출 및 통화가치·주가 하락 등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기사



또한 전 세계 은행과 투자자 사이에 위험회피 성향이 높아져 2008∼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와 같은 유동성 부족이 나타날 수 있다고 S&P는 내다봤다.

아울러 중국의 국내총생산(GDP)이 2020년까지 누적 9.6% 떨어질 때, 칠레의 GDP는 누적 8.4%, 대만은 7.5%, 한국은 6.8%가 각각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S&P는 밝혔다.

이수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