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조선·해운사 법인카드 한도 축소] "담보 없어 자칫하면 회수 불능"

우리카드, 한진해운 한도 절반으로 줄여

신한카드도 중소형 해운사 3곳 한도 축소

카드사들은 해운·조선 등 위험업종 주요 기업에 대한 법인카드 한도를 줄이며 여신관리에 돌입했다. 법인카드 사용금액은 무담보채권이어서 회수 불능의 위험이 있다는 판단에서다. 위험업종 주요 기업에 대한 카드사들의 이 같은 선제적 여신관리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18일 카드 업계에 따르면 우리카드는 한진해운의 법인카드 한도를 최근 절반가량 줄였다. 신한카드 역시 최근 중소형 해운사 3곳의 법인카드 한도를 축소했다. 이들 해운사는 일부 카드사용액에 대해 연체를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NH농협카드 역시 지난 3월과 이달 위험업종 주요 기업에 대해 각각 심사를 했고 일부 기업의 법인카드 한도액을 줄였다. 또 부실 정도가 심한 몇몇 기업에 대해서는 법인카드 재발급 불가 판정을 내렸다. KB국민카드와 하나카드는 아직 법인카드 한도 축소는 하지 않았지만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 하나카드는 현재 한진해운과 현대중공업에 대해 법인카드를 발급했는데 채권 상환 지연 등이 발생하면 한도액을 즉각 축소해 부실채권이 늘어나지 않도록 할 방침이다. KB국민카드 역시 해운과 조선업종의 법인카드 발급기업에 대해 부실 여부를 요의 주시하며 관리에 돌입했다.

관련기사



카드사들이 위험업종에 대해 법인카드 한도 조정에 나선 것은 특성상 부실채권이 발생할 위험성이 크기 때문이다. 은행 등 대형 금융기관은 토지와 건물 등 담보를 보유하거나 채권단에서 강한 입김을 발휘해 채권관리가 쉬운 데 비해 카드사는 상대적으로 채권 규모가 작아 권한이 크지 않다. 기업이 부실해질 경우 채권을 거의 회수하기 어려워지는 것이다. 한 카드업계 임원은 이와 관련해 “은행들은 수천억원의 채권을 보유하고 있어 채권단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지만 카드사는 군소채권단으로 분류돼 힘이 크지 않다”며 “채권 규모를 미리 줄이는 형태의 여신관리가 중요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최근 카드사들의 부실채권(NPL) 비율이 소폭 상승하고 있는 점도 카드사들의 이 같은 선제적 여신관리에 영향을 주고 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신용카드 채권의 부실채권 비율은 지난 2012년 말 1.48%에 달했다가 2014년 1.11%로 감소했다. 하지만 지난해에는 1.14%로 다시 증가 추세를 나타냈다. 이는 카드론 등 카드대출이 증가하면서 부실채권도 덩달아 늘어나게 된 것이다. 금감원에 따르면 전업계 카드사의 카드대출액은 2014년 93조6,000억원이었지만 지난해 94조6,000억원으로 1조원가량 늘었다. 은행권의 가계여신 부실채권은 지속적으로 낮아지는 데 비해 신용카드 부실채권은 다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어 집중적 관리가 필요해진 것이다. 카드 업계 관계자는 이와 관련, “현재 카드사의 여신관리는 전반적으로 양호하지만 부실채권 비율에는 계속 신경 써야 하는 상황”이라며 “특히 최근 금융 업계 전반이 부실채권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추세여서 카드사들도 이에 발맞춰 대응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강동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