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주요업종 30개 중 27개 주력 생산품 공급 과잉"

전경련, 건설·車 등 조사

경쟁국·후발업체 진입 늘고 글로벌 경기 침체 탓

공급 과잉 최소 3년 지속..."10년 이상 간다" 전망도

불황 넘으려면 규제 완화·신성장동력 발굴 등 필요



국내 주요 업종별 단체 10곳 중 9곳은 현재 업황을 공급과잉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발업체의 시장 참여와 글로벌 경기불황이 주요 원인으로 이 같은 공급과잉은 최소 3년 이상 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지난달 28일부터 이달 10일까지 건설과 자동차·조선·철강·섬유 등 주요 업종별 단체 30곳을 대상으로 조사해 19일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27곳(90%)이 현 상황을 ‘주력생산품 공급과잉 상태’라고 답했다.


‘수급 균형’이라고 응답한 곳은 화장품 같은 일부 내수업종 3곳에 그쳤고 ‘초과 수요’를 꼽은 데는 단 한 곳도 없었다.

공급과잉의 원인으로는 ‘경쟁국의 시장 진입 증가’가 38.6%로 첫손가락에 꼽혔다. ‘경기침체에 따른 단기 수요 감소(29%)’와 ‘국내 경쟁기업의 생산 증가(12.9%)’가 뒤를 이었다.

문제는 이런 상황이 오래갈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공급과잉 해소 시기를 묻는 질문에 8곳(29.6%)은 ‘10년 이상 간다’고 답했다. ‘3년 이내’도 29.6%였지만 ‘5년 이내(22.3%)’와 ‘10년 이내(11.1%)’를 고른 단체도 많아 전반적으로 공급과잉 상황이 길어질 것으로 봤다.


실제로 현재의 경기상황에 대해 절반 이상의 업종인 17곳(56.7%)이 ‘장기불황’이라고 답했다. 7곳(23.3%)은 ‘일시적 경기부진’이라고 답해 전체의 80%가 지금의 경기를 불황이라고 진단했다.

관련기사



산업의 성장성도 갈수록 나빠지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자신이 속한 산업이 ‘고도 성장기나 완만한 상승기’라고 응답한 곳은 전체 30곳 가운데 4곳(13.3%)에 불과했다. 반면 26곳(86.7%)은 ‘성장 정체기 및 사양화 단계’라고 판단했다.

불황이 지속될 경우 가장 우선해야 할 조치(복수응답)로는 ‘감산 또는 조업 단축’이 19곳(38.0%)으로 가장 많았다. ‘투자 축소(10곳)’와 ‘인력 감원(7곳)’ ‘사업 분할(7곳)’ 등이 뒤를 이었다. 자산매각이나 사업 분할을 통한 몸집 줄이기보다는 미래 경기회복 국면에 대비하기 위한 단기처방에 주력하고 있는 것이라는 게 전경련의 설명이다.

불황 극복을 위해 정부가 우선해야 할 정책(복수응답)으로는 ‘기업 규제 완화(15곳)’와 ‘신성장동력 발굴·육성(13곳)’ ‘신시장 개척 지원(12곳)’ ‘노동시장 개혁(4곳)’ ‘금융지원 강화(4곳)’ 등의 답변이 나왔다. 국내 산업의 고령화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정부가 규제 완화와 신성장동력 발굴, 신시장 개척을 지원해야 한다는 게 전경련의 주장이다.

추광호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공급과잉 문제를 국내 차원이나 단기적 관점에서만 보고 다운사이징 중심의 구조조정을 하게 되면 향후 경기회복 시점에서 사업 기회 자체를 날려버리고 경쟁국에 기회를 이전시키는 ‘교각살우’가 될 수도 있다”며 “불황의 원인이 외부적 요인에 있는 만큼 경기회복과 글로벌 경쟁력 보유 여부를 판단해 체력 유지를 위한 지원도 함께 검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영필기자 susopa@sedaily.com

구경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