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G7, 통화가치 절하경쟁 자제에 일치했지만… '환율개입' 두고 미일 여전한 입장차

주요 7개국(G7)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들이 통화가치 절하 경쟁을 자제해야 한다는 데 뜻을 같이했다. 조세도피에 대응하기 위한 세제 투명성 강화, 테러자금 차단을 위한 대응 계획에도 합의했다. 다만 외환시장 개입 카드를 접지 않는 일본과 이를 경계하는 미국의 입장 차이는 이번에도 확인된 것으로 보인다.

미국·일본 등 G7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들은 20·21일 일본 센다이에서 열린 회의에서 이 같이 합의했다고 교도통신 등 현지언론이 전했다. 아소 다로 일본 부총리 겸 재무상은 회의가 끝난 후 기자회견을 열어 “모든 국가가 통화를 경쟁적으로 절하하는 것을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확인했다”며 “외환시장의 과도한 변동과 무질서한 움직임은 경제와 금융의 안정에 대해 악영향을 준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그는 최근 외환시장에 대해 “이틀 동안(엔-달러 환율이) 5엔 흔들리는 등 최근 몇 주 동안은 ‘질서 정연한 움직임’이라 할 수 없다”며 “일방적으로 편향된 투기적 움직임이 보였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외환시장 개입을 둘러싼 미국과 일본의 입장 차이는 여전한 것으로 보인다. 제이컵 루 미국 재무장관은 이날 오전 아소 부총리와 진행한 양자 회담에서 ‘통화절하 경쟁을 피하기로 한 국제적 합의를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을 강조했다.

관련기사



G7 장관들은 더불어 조세도피에 대한 대처와 관련해 아소 부총리는 “G7이 리드하면서 비협조적인 국가·지역을 특정하는 노력을 통해 세제의 투명성을 높인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테러자금 차단을 위해 행동계획에도 합의했다. 테러사건에 악용된 사례가 있는 선불카드나 가상통화에 대해 본인 확인을 엄격히 실시하도록 노력하자는 내용을 행동계획에 담았다.

반면 일본 등이 주창한 재정 동원을 통한 경기 부양은 독일 등 유럽 국가들이 이견을 냄으로써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고 교도통신은 전했다.

박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