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긴급신고 통합으로 골든타임 확보한다

박인용 국민안전처 장관

박인용 국민안전처장관박인용 국민안전처장관




전화는 1876년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이 발명한 후 인류사회의 가장 중요한 의사소통 수단이 됐다. 전화로 위험에 처한 사람들을 지켜주는 긴급신고는 빠뜨릴 수 없는 중요한 기능 중 하나이다. 긴급신고는 재난·사고와 범죄 신고가 주요 내용이며 사람들이 기억하기 쉽게 다른 번호보다 간단한 번호가 부여된다. 세 자리 화재신고 번호 119가 우리나라에 도입된 것은 1935년 10월1일 자동식 전화가 최초로 설치되면서부터다.

2013년에 나온 미국영화 ‘더 콜’은 하루 26만8,000건, 1초에 3건의 신고가 쏟아지는 미국의 911센터를 배경으로 시작된다. 영화 속 살인범에게 납치된 소녀가 절박한 상황에서 전화를 건 번호가 911이었고 주인공인 911센터 요원 ‘조던’의 침착한 대응으로 소녀는 살아날 수 있게 된다. 긴급전화는 실로 ‘생명의 전화’였던 것이다.


우리나라는 현재 재난신고 119와 범죄신고 112 외에 해양사고(122), 학교폭력(117), 미아신고(182) 등 18개의 긴급신고 전화가 운영되고 있다.

관련기사



하지만 번호에 대한 인지도가 낮아 잘 이용되지 못하고 긴급시 시간을 허비하게 해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있었다. 2014년 시행한 국민인식 조사 결과 119와 112는 국민의 98%가 인지하지만 나머지 18개 긴급신고 번호 인지도는 21% 미만이었다. 응답자의 79.2%가 “신고번호를 잘 모르겠다”고 했고 “신고번호 축소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90%에 달했다. 국민들이 쉽게 이용하도록 긴급신고 번호를 인지도 높은 번호로 단순화해 통합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국민편의 제고와 재난·사고에 대한 신속한 대응을 위해 긴급신고 통합을 추진하고 있다. 긴급신고는 119(재난)와 112(범죄)로, 비긴급 신고는 110(민원·상담)으로 통합해 7월부터 시범 서비스를 시행하고 10월에는 전면 서비스할 계획이다. 미국의 경우도 긴급신고 전화는 911로, 민원신고 전화는 311로 분리 운영하고 있고 영국과 독일 등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4개국 중 28개국이 긴급과 비긴급을 별도 운영해 이 문제에 대처하고 있다. 긴급신고가 통합되면 국민들은 긴급상황에서 119 또는 112만 기억해 빠르게 신고하고 긴급하지 않은 민원 사항은 110으로 전화하면 된다. 긴급신고 통합으로 국민의 신고 편의성은 높아지고 긴급과 비긴급 전화 구분으로 소방과 해경·경찰의 출동시간이 단축돼 골든타임이 확보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 관계기관 간 협업기능 개발로 신고내용, 신고자 전화번호, 신고위치 등의 정보가 자동으로 공유돼 다른 기관으로 이첩되는 경우도 이중으로 묻지 않아 신고와 대응이 빨라진다. 게다가 영화 ‘더 콜’에서 911센터 신입 직원이 출동명령 이후 확인할 수 없어 궁금해했던 화재진압 상황, 환자후송 상태, 범인 검거 등의 진행상황 관리기능도 이번에 개발돼 관계기관 간 공동대응이 원활해진다.

긴급신고 통합 자체만으로는 골든타임이 저절로 확보되지 않는다. 2014년 한해 동안 119에 걸려온 신고전화 999만건 중 27%, 112에 걸려온 1,900만건 중 44%가 비긴급전화나 장난전화였다. 긴급하지 않은 신고는 비긴급전화(110)를 이용함으로써 정말 긴급한 사람들이 긴급전화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국민들의 의식이 더해져야 골든타임이 확보될 수 있다. 이 긴급신고 통합체계가 조기에 정착될 수 있도록 국민 여러분께 관심과 협조를 부탁한다.

이완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