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인천항 4월 컨테이너 물동량 역대 최대 기록

인천항의 4월 컨테이너 물동량이 역대 최대인 22만3,000TEU를 기록했다.

월간 물량으로 지난해 10월에 21만TEU를 처음 넘어선 이후 6개월 만에 22만TEU(1TEU는 20피트 분량 컨테이너 한개)를 돌파했다.


인천항만공사(IPA)는 지난 4월 인천항에서 처리한 컨테이너 물동량이 지난해 4월 20만1,039TEU 보다 11.0% 증가한 22만3,126TEU로 집계됐다고 25일 밝혔다.

4월까지 누계로는 8.6%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IPA에 따르면 이 기간 중 전체 물동량 가운데 수입 화물은 11만8,919TEU로 53.3%를 차지하면서 전년 동월 대비 12.3%(13,069TEU) 증가했다.

수출은 10만2,102TEU로 전년 동월보다 10.6%(9,776TEU) 늘어났다. 환적 및 연안 물동량은 각각 1,320TEU, 785TEU를 기록했다.

국가별로는 대 중국 교역량(13만3,213TEU)이 6.6%(8,298TEU) 증가했다. 이는 중국으로부터 방직용 섬유 및 그 제품, 기타 잡화, 전기기기 및 그 부품을 중심으로 수입이 증가한 덕분으로 분석됐다.


베트남 물동량(1만8,316TEU)도 우리나라 제조기업의 현지 투자에 따른 물동량 유발효과가 지속되면서 전년 동월 대비 18.0%(2,791TEU) 늘었다.

관련기사



지역별로는 중국을 포함한 극동아시아 물동량(16만688TEU)이 8.4%(1만2,497TEU)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동남아 물량(4만4,133TEU)도 19.5%(7,205TEU) 늘었다. 반면 일본(4,910TEU)과 남미(1,456TEU)는 각각 4.5%(229TEU), 12.2% (202TEU)씩 물량이 소폭 줄었다.

컨테이너를 통한 수출입 증가품목은 기타 잡화, 플라스틱·고무제품, 기계류 및 그 부품 등이었으며, 총 31개 품목 중 21개 품목의 교역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같은 기간 중 벌크화물 물동량은 전년 동월 대비 1.0% 감소한 951만톤(RT)을 기록했다.

RT는 중량이나 용적 단위로 산출되며, 둘 중 운임이 높은 쪽이 실제 운임으로 결정되는 운임톤(Revenue tons)을 말한다.

수입화물은 535만톤으로 전체 물량 중 56%를 차지했으며, 전년 동월 대비 3.4% 감소를 기록했다. 수출은 102만톤으로 비중은 11%였고, 전년 동기 대비 4.0% 줄었다. 연안화물은 33% 비중으로 전년 동월 대비 5.3%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물량이 증가한 주요품목(증가량, 화물 점유율)은 원유ㆍ석유(34만톤, 12%), 모래(14만톤, 17%) 등이었다. 유류는 이란 경제 제재 해제로 인한 원유수입 증가, 모래는 건설경기 회복으로 인한 수요 급증이 물동량 증가를 견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유창근 IPA 사장은 “인천항의 컨테이너 물동량 증가 추세가 지속된다면 올해 11월에는 23만TEU대를 처리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인천신항 배후단지와 아암물류 2단지의 조속한 공급을 추진하고, 수출입 물류환경에 대한 지속적인 개선을 통해 수도권 화주의 요구에 부응한 항만물류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인천=장현일기자 hichang@sedaily.com

장현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