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채권

NH證 "국내 중소 조선업체 법정관리 가능성 높아져"

STX(011810)조선해양이 법정관리를 신청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국내 중소형 조선업체들이 구조조정 과정에서 법정관리로 넘어갈 가능성이 커졌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임정민 NH투자증권(005940) 크레딧팀장은 25일 보고서에서 “국내 조선업이 채무 재조정과 선두권 업체 중심으로의 재편 과정에서 경쟁력이 약해진 중소형 업체들의 추가 지원 가능성이 낮아질 것”이라며 “정부의 지원 가능성 차별화로 일부는 법정관리 가능성이 높아질 전망”이라고 밝혔다.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채권단이 자율협약 기간 STX조선해양·성동조선해양·SPP조선 3사에 지원한 자금은 총 7조4,000억원에 달한다. 이 중 STX조선해양에는 2014년 자율협약 개시 후 총 4조5,000억원이 지원됐으며 성동조선에는 1조9,000억원, SPP조선에는 1조850억원의 자금이 투입됐다. 이러한 자금 지원에도 조선업의 업황 악화가 장기화하고 있어 자금 지원과 같은 재무적 구조조정으로는 정상화가 어렵다는 지적이다.


그는 대우조선해양(042660)·현대중공업(009540)·삼성중공업(010140) 등 선두권 조선업체들에 대해서는 채권단 관리가 강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대우조선해양의 경우 국책은행이 4조2,000억원을 지원하겠다고 밝혔지만 내년 만기되는 회사채 약 4,200억원의 차환 물량을 감안하면 추가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지적됐다.

관련기사



한편 이와 같은 구조조정의 영향으로 신용등급의 하락세도 낮은 등급 업체들을 중심으로 가속화할 것으로 예상됐다. 임 팀장은 “과거에는 워크아웃과 법정관리를 신청하는 경우에만 C와 D등급으로 강등됐지만 향후 구조조정 과정에서 사실상 투자자들의 손실 발생 가능성이 커지면 신용등급은 바로 떨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은행권 중에서는 조선·해운 등 취약업종 여신 비중이 큰 부산은행·경남은행·우리은행 등의 자본비율 하락 폭이 상대적으로 클 것으로 보고 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지적했다.

박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