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무언설태



▲박원순 서울시장이 25일 한 라디오 인터뷰에서 대권후보로 거론되는 반기문 유엔사무총장에 대해 “퇴임 후 활동을 제한하는 유엔결의를 지켜야 한다”며 견제구를 날렸네요. 유엔은 사무총장 퇴임 직후 회원국이 어떠한 정부직도 제공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총장도 그런 직책을 수락하는 것을 삼가야 한다는 권고를 담은 결의문을 채택하고 있답니다. 설령 반 총장이 이를 받아들이는 게 맞더라도 박 시장이 할 말은 아니지 싶습니다. 최근 시장직을 유지하면서 시정보다 국정에 더 관심이 있는 듯한 박 시장의 모습도 보기 좋지는 않습니다.

▲30대 그룹의 임원 자리가 1년 사이에 500개 가까이 사라졌답니다. 장기 불황과 실적 부진으로 많은 대기업이 인력 구조조정을 했는데 임원이라고 피해갈 도리가 없었겠죠. 갑자기 책상이 없어져도 받아들일 수 밖에 없는 임원이 임시직원의 줄인 말이라는 것은 다들 아시죠.


▲정운호 네이처리퍼블릭 대표의 6월 5일 만기 출소를 앞두고 검찰에 비상이 걸렸다네요. 만약 정 대표를 재수감하지 못할 경우, 정 대표가 ‘로비 용도’로 홍만표 변호사에게 돈을 줬는지, 브로커 등을 통해 법조계 등에 ‘전방위 로비’를 했는지 등 ‘법조로비’ 의혹 규명이 지체될 수밖에 없답니다. 정 대표를 추가 기소하기 위해 네이처리퍼블릭 가맹점과 직영점 관리업체 등을 압수수색까지 했는데 확실한 단서를 포착하지 못했다니 난감하기는 하겠네요. ‘전관예우’ 의혹에 단서 없는 수사에 이르기까지, 이래저래 검찰 체면만 구겨지게 생겼네요.

관련기사



▲최악 위기에 몰린 대우조선해양과 현대중공업 경영진이 고용세습 조항을 없앨 모양입니다. 단체협약 협상에서 관련 조항의 삭제를 요구했는데 채권단의 자구책 압박까지 더해지면서 노조가 받아들일 가능성이 크다네요. 회사를 거덜 내는데 일조한 고용세습을 그대로 놔두고 구조조정을 할 수는 없었겠죠. 현대자동차 같은 다른 대기업 경영진과 노조도 험한 꼴 보기 전에 정신 차리시죠.

▲국내 중소기업들이 최근 5년간 227만 명을 고용해 전체 일자리의 90%를 떠맡았지만 대기업과의 임금 격차는 갈수록 벌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중소기업 근로자 임금은 지난해 293만 원에 머물렀고 특히 중소제조업의 경우 대기업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는데요. 고용시장에서 중소기업이 차지하는 위상에 걸맞게 임금수준도 다른 선진국처럼 대기업의 90%에 이르는 세상이 언제나 오려나요.

▲19대 국회 마지막 수장인 정의화 국회의장이 26일 퇴임 기자회견에서 ‘빅 텐트 ’정치를 주장했습니다. 그는 우리 정치에 희망을 주겠다며 “협치와 연대의 정치개혁, 국민 중심의 정치혁신에 동의하는 우리 사회의 훌륭한 분들과 손을 잡겠다”고 했습니다. 무책임, 무능, 무생산 등 3무(三無)로 일관하며 역대 최악의 국회로 평가받는 19대 국회의 아쉬움은 담았으나 역시 ‘만시지탄’이지요.

논설위원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