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대우조선 이 꼴로 만들어 놓고 또 정피아 논란이라니

부실경영으로 구조조정이 진행 중인 대우조선해양 사외이사에 또다시 ‘정(政)피아’ 논란이 일고 있다. 대우조선은 다음달 13일 주주총회를 열어 법무법인 대오의 조대환 고문변호사를 사외이사로 선임할 계획이었지만 여론이 악화하자 본인 스스로 물러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조 변호사는 박근혜 대통령이 의원 시절에 세운 싱크탱크 발기인이었으며 박 대통령의 인수위원회 때는 전문위원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사실상 보은 인사”라는 비판이 쏟아질 만했다. 하지만 조 변호사가 물러났다고 정피아 논란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다.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은 대우조선을 살리기 위해 2014년까지 2조9,000억원을 지원한 것도 모자라 지난해에는 4조2,000억원을 추가 투입했다. 그럼에도 대우조선은 회생은 고사하고 법정관리까지 거론되는 위기에 몰린 처지다. 사외이사들이 경영 감시를 제대로만 했어도 막을 수 있는 불행이었다. 하지만 대우조선에는 그럴 기회가 없었다. 산은 자회사로 편입된 2000년 이후 사외이사 30명 중 18명이 정치권 인사들로 채워졌다. 비전문가들이 주도하는 이사회가 제대로 된 역할을 할 리가 만무하다. 지난해 이사회에 상정된 안건 60건 중 부결이 단 한 건도 없었던 이유다.

관련기사



조 변호사 역시 조선해양이나 조선업과 관련 경력이 없는 인물이다. 그런데도 대우조선 경영진은 그를 사외이사로 떡하니 앉히려 했다. 대우조선의 후안무치와 낙하산 인사가 도를 넘어섰다는 비난이 들끓는 게 당연할 수밖에 없다. 그가 스스로 물러나겠다고 해서 대우조선 낙하산 문제가 끝난 것도 아니다. 그 많은 정치권 낙하산들을 그대로 놔둔 채 무슨 구조조정을 하겠다는 것인지 이해하기 어렵다. 전문가가 와도 시원치 않을 판에 정피아가 또 활개친다면 7조원이나 되는 국민 혈세가 허공으로 날아갈 수도 있다. 대우조선이 다시금 그들만의 파티장이 된다면 후폭풍은 기업과 최대주주에게만 그치지 않을 것임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