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은 대우조선을 살리기 위해 2014년까지 2조9,000억원을 지원한 것도 모자라 지난해에는 4조2,000억원을 추가 투입했다. 그럼에도 대우조선은 회생은 고사하고 법정관리까지 거론되는 위기에 몰린 처지다. 사외이사들이 경영 감시를 제대로만 했어도 막을 수 있는 불행이었다. 하지만 대우조선에는 그럴 기회가 없었다. 산은 자회사로 편입된 2000년 이후 사외이사 30명 중 18명이 정치권 인사들로 채워졌다. 비전문가들이 주도하는 이사회가 제대로 된 역할을 할 리가 만무하다. 지난해 이사회에 상정된 안건 60건 중 부결이 단 한 건도 없었던 이유다.
조 변호사 역시 조선해양이나 조선업과 관련 경력이 없는 인물이다. 그런데도 대우조선 경영진은 그를 사외이사로 떡하니 앉히려 했다. 대우조선의 후안무치와 낙하산 인사가 도를 넘어섰다는 비난이 들끓는 게 당연할 수밖에 없다. 그가 스스로 물러나겠다고 해서 대우조선 낙하산 문제가 끝난 것도 아니다. 그 많은 정치권 낙하산들을 그대로 놔둔 채 무슨 구조조정을 하겠다는 것인지 이해하기 어렵다. 전문가가 와도 시원치 않을 판에 정피아가 또 활개친다면 7조원이나 되는 국민 혈세가 허공으로 날아갈 수도 있다. 대우조선이 다시금 그들만의 파티장이 된다면 후폭풍은 기업과 최대주주에게만 그치지 않을 것임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