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홍대 정문에 '일베 인증'이?

누리꾼들 황당하다는 반응 이어져

작가, "일베는 이미 우리 사회에 만연한 현상"일 뿐

홍대 정문에 설치된 ‘일베 인증’ 손 모양 조형물./출처=홍익대학교 대신 전해드립니다 페이스북 페이지홍대 정문에 설치된 ‘일베 인증’ 손 모양 조형물./출처=홍익대학교 대신 전해드립니다 페이스북 페이지


홍익대학교 정문에 세워진 ‘일베 인증’ 조형물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는 가운데 작가가 작품을 철거할 뜻이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지난 30일 ‘홍익대학교 대신 전해드립니다’ 페이스북 페이지에는 거대 손 모양의 조형물 사진 한 장이 게재됐다. 극우 성향의 인터넷 커뮤니티 ‘일간베스트’의 회원들이 자신이 ‘일베 회원’임을 인증할 때 사용하는 손 모양의 조형물이 홍익대학교 정문 앞에 세워져 있는 사진이었다.


사진을 본 학생들과 누리꾼들은 강하게 반발했다. 일간베스트는 특정 지역이나 계층 등을 비하하고 고(故) 노무현 대통령과 김대중 전 대통령, 세월호 유가족 등을 비하 및 조롱하는 등 논란을 일으켰다.

이 때문에 “정문에 이런 조형물을 설치 중인데 의도가 어떻든 이런 것을 학교에 전시한다는 것이 황당하다”, “우리 학교가 ‘일베 학교’도 아니고 너무 수치스럽다”, “설치하는 동안 학교는 뭐 했냐”는 반응들이 이어졌다.


비난의 목소리가 커지자 총학생회는 지난 30일 성명을 내고 “작가는 해당 일베 상징물로 인해 수많은 사람들이 상처받은 점을 숙고해 주시기 바란다. 학교 정문인 홍문관에 일베 조각을 설치한 것은 그 위치의 특성상 홍대 학생들이 일베와 같은 성향을 지니는 것으로 비춰질 수 있다. 작가의 의도와는 무관하게 홍대 구성원들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그러나 예술 작품으로 전시된 만큼 작가의 의도가 파악될 때까지는 조치 없이 기다릴 것이라는 입장도 밝혔다. 작품을 제작한 홍익대 조소과 4학년 학생 홍기하(22)씨는 31일 “단편적이고 이분법적 해석을 위한 작품은 아니다”라며 “일베는 이미 우리 사회에 만연돼 있는 현상이고, 부정할 수 없는 실재라는 것을 표현하고 싶었다”라고 말했다.

홍씨는 “일베를 상징하기 때문에 계란을 던지거나 부숴야 한다는 말 등에는 표현할 자유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하지만 작품을 훼손하는 행위에 대해서는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 인터뷰에서 작품을 철거할 생각이 없다는 뜻을 거듭 밝혔다.

홍익대학교 조소과는 매년 정기적으로 ‘환경조각연구 야외조각전’을 열고 있으며 홍씨의 작품은 수업 과제로 만들어져 출품됐다.

/김인경인턴기자 izzykim@sedaily.com

김인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