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박원순, 스크린도어 사고에 “산하기관 외주화 전면 개선”

구의역 사고 유족 만나고 현장 방문…“철저한 진상 규명과 책임”

돈 보다 사람 우선 행정 계속…유족에 예우와 보상 최선

박원순 서울시장./사진제공=서울시박원순 서울시장./사진제공=서울시


박원순 서울시장이 지하철 스크린도어 작업자 사망 사고와 관련해 시 산하기관 외주화를 전면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박 시장은 31일 지하철 2호선 구의역 사고 현장을 찾아 “앞으로 시 산하기관 외주화를 실태 조사하고 전면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또 지하철 공사 안전 관련 업무 외주는 근본적으로 중단한다고 했다. 서울 지하철 1~4호선을 운영하는 서울메트로는 지난달 28일 사고가 발생하자 그 대책으로 8월부터 용역업체 대신 자회사를 세워 안전문 유지·보수를 맡기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박 시장은 이번 사고의 원인을 철저하게 규명해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책임을 묻겠다며 서울시민에게 머리 숙여 사죄했다.


박 시장은 특히 “이번 사고는 우리 사회 청년들이 내몰리는 현실에 대한 고발로 기성세대의 한 사람으로서 책임을 통감한다”고 말했다. “경영 효율을 이유로 얼마나 많은 청년 노동자들이 저임금 비정규직 악순환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는지, 그 실태를 우리가 제대로 알고 있는지 두려움이 앞선다”고 토로하기도 했다.

관련기사



아울러 박 시장은 “돈보다 사람의 생명과 인권을 존중하고 우선하는 행정을 계속하겠다”고 강조했다.

앞서 출근길에 박 시장은 사고로 숨진 정비용역업체 직원 김모(19)씨의 시신이 안치된 병원을 혼자 방문해 유족을 만났다. 박 시장은 고인에게 깊은 애도와 조의를 표하고 유족에게는 고인에 대한 예우와 보상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뜻을 전했다.

김씨는 지난달 28일 구의역 스크린도어 오작동 신고를 받고 나섰다가 오후 5시57분께 승강장으로 진입하던 열차와 스크린도어 사이에 끼여 숨졌다. 2013년 1월 성수역 스크린도어 작업자 사망 사고 이후 서울메트로가 도입한 2인 1조 작업 원칙은 지난해 강남역 스크린도어 사망 사고에 이어 이번에도 지켜지지 않았다.

양사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