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이유있는 SNS ‘좋아요’, 행복 뇌부위 자극한다

뇌 보상 회로 '기댐핵' 자극해

좋아요 많은 사진일수록 사진에 대한 애정도 높아져

SNS ‘좋아요’는 짜릿한 쾌감을 주기도 한다. 물론 좋아요가 많을 때에 해당하는 일이다./출처=구글SNS ‘좋아요’는 짜릿한 쾌감을 주기도 한다. 물론 좋아요가 많을 때에 해당하는 일이다./출처=구글


SNS(사회관계망서비스)에 친숙하지 않은 부모들은 때로는 자녀들이 SNS를 치열하게 하는 것을 이해하기가 어렵다. 그러나 초콜릿을 먹으면 기분이 좋아지듯, SNS의 ‘좋아요’도 같은 효과를 내는 것으로 실험 결과 밝혀졌다.

영국 인디펜던트에 따르면 미국 UCLA 브레인 매핑 센터(Brain Mapping Centre) 연구진은 13~18세의 청소년 32명을 대상으로 SNS에서 받는 ‘좋아요’수에 반응하는 청소년 뇌의 특징을 확인하는 실험을 실행했다.

연구진은 피험자 각각에게 피험자 자신의 자신 40장을 포함한 148장의 SNS 사진을 보여줬다. 연구진은 피험자의 사진에 눌린 좋아요 수를 적은 것에서부터 많은 것까지 임의로 섞었다. 그리고 피험자의 뇌 변화를 fMRI(기능성자기공명영상촬영)로 지켜봤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로렌 셔먼 연구원은 “청소년들이 좋아요가 많이 눌린 자신의 사진을 봤을 때 뇌의 다양한 부분이 활성화하는 것을 관찰했다”며 “뇌 보상 회로의 일부인 기댐핵(Nucleus accubens)이 특별히 반응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기댐핵은 강한 행복감과 연관된 뇌부위로, 이 부위를 전기로 자극하면 ‘마약’을 하는 것처럼 강한 희열이 유발된다. 초콜릿을 먹을 때도 이 부분이 반응을 보인다. 기댐핵 바로 옆에는 성적 오르가즘을 담당하고 있는 ‘사이막영역’ 이 있다.

청소년들은 좋아요가 많이 눌리면 눌릴수록 그 사진 자체에 대한 애정도 높아졌다. 이에 셔먼 연구원은 “또래에게 인정받는다는 사실을 굉장히 중요하게 받아들인다는 것”이라고 평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심리과학 학술지’(Psychological Science)에 게재됐다.

/김인경인턴기자 izzykim@sedaily.com



김인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