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정부, 2020년까지 정보보호 창업기업 100개 육성

정보보호 산업정책, ‘창업과 해외진출’에 집중

향후 5년간 추진할 'K-ICT 시큐리티 2020' 발표

정부가 오는 2020년까지 정보보호 창업기업 100개, 글로벌 강소기업 10개를 육성한다. 내수 위주였던 정보보호 산업의 체질을 수출 주도형으로 개선해 4조5,000억원 수준의 수출을 달성한다는 목표다.

9일 미래창조과학부는 이같은 내용이 담긴 ‘제1차 정보보호산업 진흥계획(가칭:K-ICT 시큐리티 2020)’을 제8차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수립, 발표했다.


이날 발표된 계획은 지난해 제정된 ‘정보보호산업의 진흥에 관한 법률’에 따라 수립된 법정계획으로, 기존 정책들을 재점검·보완해 2020년까지 추진할 기본계획이다.

스타트업 창업, 해외시장 진출 기업 확대, 정보보호 투자확대 등을 통해 약 1만 9000개의 일자리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계획안에 따르면 정부는 정보보호 투자확대 및 신시장 창출 전략으로 공공부문의 정보보호 예산을 지속 확대하고, 민간의 정보보호 투자에 인센티브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유지보수비 외에 보안성 지속서비스 대가를 현실화하고 민·관 합동으로 불공정 발주 관행 해소 등 제값 주는 문화 확산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 의료, 에너지, 교통, 홈·가전·제조 등 5대 ICT 융합 제품·서비스 개발시 설계 단계부터 보안기능을 적용하도록 추진하고, 지능형 CCTV, 바이오인식, 스마트카드, 빅데이터 기반 영상분석 등 4대 미래유망 물리보안산업의 육성을 지원한다.

관련기사



판교에는 제2의 융합보안 환경 테스트 베드를 구축한다. 전세계적으로 사이버 대응이 빅데이터, 인공지능(AI)을 바탕으로한 자율 대응으로 전환되고 있는 만큼 하반기 지능형 AI에 기반한 정보대응체계를 준비한다는 방침이다.

또 창업활성화 전략으로 침해대응 시설, 인력 양성기관 등을 집적한 정보보호 클러스터 조성을 추진하고, 글로벌 펀드 및 엑셀러레이터와 연계해 유망 스타트업의 발굴에서 사업화까지 전단계 지원을 강화한다.

스타트업, 중소기업의 핵심 기술과 인력 확보를 위해 국제공동연구와 범부처 공동 R&D를 통해 지능형 보안 원천기술을 개발해 민간 이전을 확산할 계획이며, 기존 대응 중심의 인력양성 체계에 산업을 연계한 인력양성 전략을 추진한다.

아울러 한국의 강점인 ICT 강국 위상 및 침해사고 대응 경험과 기업 주력품목을 결합한 ‘K-시큐리티(Security)’ 브랜드화를 추진한다. 아프리카, 중남미, 중동, 동남아 등 4대 전략거점을 중심으로 디지털포렌식, 침해대응모델 등 현지에 적합한 수출을 확대할 계획이다. 수출 잠재력이 높은 개도국을 중심으로는 사이버보안 협력 네트워크 (CAMP)를 운영해 해외진출 플랫폼으로 활용할 방침이다.

최양희 미래부 장관은 “세계 최고의 사이버보안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튼튼한 ‘정보보호산업’이 반드시 뒷받침 돼야 한다”며 “이번 전략 수립으로 우리나라 정보보호의 패러다임을 혁신하는 전환점이 마련됐다”고 평가했다. 이어 “앞으로 미래부는 정보보호산업을 창조경제의 새로운 블루오션으로 집중 육성해, 우리나라의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만드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권용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