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주형환 산업부 장관, “철강업체 적극적인 사업재편 나서달라” 촉구

17회 철의 날 행사 축사

“中·日 구조조정 속도 무서울 정도”

“에너지 공기업 발주물량, 테스트 베드로 활용토록 할 것”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9일 “글로벌 공급과잉 등 철강산업을 둘러싼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선 선제 사업재편이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주형환(오른쪽 세번째) 산업부 장관이 철강협회 관계자들과 박수를 치고 있다. /사진제공=산업부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9일 “글로벌 공급과잉 등 철강산업을 둘러싼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선 선제 사업재편이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주형환(오른쪽 세번째) 산업부 장관이 철강협회 관계자들과 박수를 치고 있다. /사진제공=산업부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9일 “글로벌 공급과잉 등 철강산업을 둘러싼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선 선제 사업재편이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주 장관은 이날 서울 포스코센터 서관 아트홀에서 열린 ‘제17회 철의 날 행사’ 축사를 통해 “우리 철강산업은 글로벌 공급과잉과 조선·자동차·건설 등 주력산업의 수요정체, 보호무역주의 확산, 환경규제 강화 등 그 어느 때보다도 어려운 환경에 직면해 있다”며 “복잡한 환경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선제 사업구조 개편과 고부가가치 제품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이같이 밝혔다.

관련기사



주 장관은 중국과 일본 등 과잉설비 감축에 속도를 내고 있는 경쟁국의 사례를 예로 들며 우리나라도 조속한 사업재편이 필요하다고 우려했다. 그는 “올해 초 중국정부는 우리나라 총 철강생산량의 2배가 넘는 1억5,000만톤의 생산설비를 감축하기로 한 바 있다”며 “이틀 전 미국과 중국 간 전략경제대화에서 중국은 철강생산을 추가로 감축하고 좀비 기업을 퇴출하는 구조조정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철강 선진국 일본도 3차례에 걸친 구조조정을 통해 대형화를 추진하고 있고 비효율적인 설비 감축과 특화부문의 전문화를 통해 경쟁력 확보에 나서고 있다”며 “혹독한 구조조정을 추진하고 있는 두 나라가 구조조정에 성공한 후 가질 경쟁력을 상상해 본다면 우리 철강산업의 미래 걱정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 업체가 독자적인 철강기술을 무기로 갖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주 장관은 “철강 생산국가 간 기술력의 평준화로 인해 우리 주력상품은 세계 시장에서 설 자리를 점차 잃어가고 있다”며 “이런 때일수록 독보적인 기술개발을 통해 남들이 흉내 낼 수 없는 최첨단·고부가가치 제품을 만들어 새로운 사업영역을 개척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 장관은 이를 위해 “앞으로 LNG저장탱크용 합금강·에너지 수송용 내부시각 등 고품질·고부가가치 제품 연구개발과 해외시장 개척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고망간강, 내해수강과 같이 국내에서 개발됐지만 해외 수요처 발굴에 애로를 겪고 있는 제품에 대해 에너지 공기업을 테스트 베드로 활용 납품실적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박홍용기자 prodigy@sedaily.com

박홍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