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작년 의약품·의료기기 등 보건산업 수출 10조 첫 돌파

바이오 제품 미국·유럽 허가 획득·한류 확산 덕분

지난 해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등 보건산업 수출액이 최근 4년 사이 2배로 급성장하며 처음으로 10조원을 돌파했다.

12일 보건복지부의 ‘2015년 보건산업 수출현황’ 자료를 보면 2015년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외국인환자 진료수입 등 보건산업 수출액은 약 88억달러(약 10조2,608억원)로 전년대비 21% 증가했다. 2011년(44억달러)과 비교하면 무려 100% 늘어난 셈이다.


수출액을 분야별로 보면 의약품(29억4,000만 달러), 의료기기(27억1,100만 달러), 화장품(25억8,800만 달러), 외국인환자 진료수입(5억9,100만 달러) 순으로 많았다.

수출액 증가율은 화장품이 44%로 가장 높았다. 의약품과 외국인환자 진료수입은 각각 22%, 12% 늘었고 의료기기 수출액은 5%의 증가율을 보였다.


화장품 수출은 한류 확산에 힘입어 2011년의 3배 규모로 성장했다. 복지부는 “화장품의 기능성을 강조한 마케팅으로 성장세가 가속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의약품은 유럽 지역에서 호조를 나타냈다. 지난 2013년 7월 셀트리온의 램시마가 유럽의약품청(EMA)의 허가를 받은 데 힘입어 전년 대비 의약품 수출 증가율은 헝가리 1,732%, 스위스 437%, 프랑스 144%, 핀란드 191% 등을 기록했다.

보건산업의 모든 분야에서 수출이 증가하며 무역수지 적자 역시 크게 개선됐다. 2011년의 경우 수입액(84억달러)이 수출액(42억달러)의 2배에 달해 42억달러 무역적자를 기록했지만 지난해에는 수출액이 수입액의 93% 수준까지 올라갔으며 적자폭도 6,000달러 수준으로 축소됐다.

복지부는 바이오의약품의 미국·유럽 허가와 정보기술(IT) 기반 의료기기 수출 확대, 한류 문화콘텐츠와 K-뷰티(화장품 한류) 확산 등으로 올해 의약품과 의료기기, 화장품의 수출액이 지난 해보다 각각 9%, 6%, 37%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외국인환자 진료수입도 계속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다.

복지부는 올해 보건산업 수출액이 100억달러(약 11조6,000억원)를 넘어설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세종=임지훈기자 jhlim@sedaily.com

임지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