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롯데 신 회장 부자 ‘금고지기’ 입 열까

11일 자택 압색 이어 12일 피의자 조사

검찰, 회장들 개인금도 살폈지만 허탕

회장 측근인물 ‘가신 3인방’도 곧 소환

롯데그룹 비자금 조성 의혹을 수사하는 서울중앙지검 롯데수사팀은 12일 신격호 총괄회장과 신동빈 회장의 자금관리 임원 L씨 등 3명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해 강도 높은 조사를 벌였다. 이들은 오랫동안 신 회장 부자의 자금을 관리해온 이른바 ‘금고지기’로 알려졌다. 게다가 검찰이 지난 10일 압수수색 과정에서 신 회장 부자의 개인금고도 각각 살폈지만 수사 단서가 될 만한 자료를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때문에 이들이 어디까지 입을 여느냐에 따라 검찰 수사의 속도와 방향이 정해질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지난 11일 이들 3명의 자택 등을 압수수색해 관련 서류와 장부, 컴퓨터 저장장치 등 증거물을 확보했다. 당초 압수수색에 나섰던 10일 이들에게도 영장을 집행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이들에게 연락을 닿지 않아 영장 집행을 하루 미룬 것이다. 검찰이 롯데그룹 수사에 착수한 이래 피의자 신분 소환조사는 이들 3명이 처음이다.


이날 검찰은 신 회장 부자 금고지기 3명을 비롯해 그룹 정책본부와 롯데쇼핑 등 핵심 계열사 자금담당 실무자 10여명을 불러 계열사 간 자금이동 규모와 경로 등을 조사했다. 롯데그룹 정책본부는 2004년 신 회장이 만든 조직으로 70여개 그룹 계열사를 총괄 관리·감독하는 곳이다. 각 계열사의 핵심 경영활동을 보고받고 조율하는 브레인 역할을 담당한다. 신 회장의 핵심 측근들이 대거 정책본부의 요직에 포진해 있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검찰은 특히 정책본부장인 이인원 부회장과 운영실장 황각규 사장, 커뮤니케이션실장 겸 대외협력단장 소진세 사장 등 3명의 역할을 주목하고 있다. 10일 그룹 차원의 전면적인 압수수색을 했을 때도 이들의 자택과 집무실을 수색했다.


그룹 2인자로 통하는 이 부회장은 신격호 총괄회장 사람으로 분류됐다. 하지만 지난해 ‘형제의 난’ 때 신 회장쪽으로 노선을 정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 회장의 ‘측근 중의 측근’으로 불리는 황 사장은 그룹 인수·합병(M&A)을 도맡은 최고 전략가로 알려져 있다. 신 회장이 주도한 30여건의 M&A도 대부분 그의 손을 거쳤다. 대외협력단을 이끄는 소 사장은 2014년 2월 롯데슈퍼 사장을 끝으로 경영 일선에서 물러났으나 같은 해 8월 대외협력단장으로 화려하게 복귀한 인물이다.

관련기사



재계 안팎에서는 검찰이 오너 일가의 경영비리를 파헤치려면 결국 이들 가신들의 입을 열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검찰도 이들 3인방이 그룹 내에서 차지하는 역할이나 입지를 고려해 수사 대상에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검찰은 압수물 분석과 실무자 소환을 어느 정도 마무리하면 곧바로 이들 3인방을 소환할 것으로 예상된다.

검찰 관계자는 “수사가 오너 일가의 비리까지 염두에 둔 만큼 이들에 대한 조사가 꼭 필요하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검찰은 10일 그룹 차원의 압수수색 과정에서 신격호 총괄회장 부자의 개인금고도 각각 압수했으나 수사 단서가 될 만한 자료는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성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