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은행

인터넷은행.. 소액대출 시장에서 은행권 위협하나

K뱅크 설문..소액간편대출 이용 채널 모바일 앱이 가장 많아

인터넷전문은행이 출범하면 소액대출 분야에서는 기존 은행과 충분한 경쟁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14일 인터넷 전문은행인 K뱅크가 엠브레인에 의뢰해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결과에 따르면 최근 소액 간편 대출을 받은 경로로 전체 응답자의 30.0%가 금융사 모바일 앱을 꼽았다. 이는 금융기관 웹사이트(26.4%)나 지점(25.7%), 영업사원 전화(12.9%) 등과 비교해 비율이 가장 높다.


신용카드 카드론과 현금서비스를 이용하는 경로도 모바일 앱이 가장 많았다. 카드론은 모바일 앱 비율이 34.9%로 가장 높았고 이어 웹사이트(32.6%)와 지점(15.9%) 순이었다. 현금서비스 또한 모바일 앱(31.1%) 비율이 가장 높았고 이어 웹사이트(29.9%), 지점(25.1%) 순으로 전체적으로 소액대출과 관련해서는 모바일 이용 비율이 높았다.

관련기사



다만 대출 시 요구서류가 많거나 대출액이 큰 경우에는 지점 이용 비율이 여전히 높았다. 일반 신용대출의 경우 지점이 53.4%로 가장 높았고 웹사이트(16.3%)와 영업사원 전화(11.6%), 모바일 앱(9.8%) 순이었다. 마이너스통장 이용 경로도 지점(70.5%)이 가장 높았고 금융기관 웹사이트(12.7%), 모바일 앱(6.4%)이 뒤를 이었다. 은행들의 주수익원인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지점이 63.8%를 차지했으며 이어 대출중개인 출장 서비스(18.0%), 금융기관 웹사이트(9.0%), 영업사원 전화(5.4%)순이었다. 모바일 앱은 3.8%에 그쳤다.

은행 예적금 가입 경로 또한 지점이 64%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반면 모바일 앱은 19.3%에 그쳤다. 이 때문에 차후 인터넷은행 출범 시 거액 대출이나 예금 유치 등에서는 다소간 고전이 예상된다.

인터넷은행을 이용 의향을 묻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절반 이상인 58.3%가 긍정적인 답변을 내놨으며 연령별로는 30대(60.2%)가 가장 높고 20대(51.6%)가 가장 낮았다.

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