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국내 철도 효시 인천…국립철도박물관 유치는 ‘외면’

인천시가 국립 철도박물관 유치에 ‘시도’ 조차 안 했다는 사실이 뒤늦게 밝혀지면서 향토 사학계와 문화계가 들끓고 있다.

민선 6기 시정 목표를 ‘가치 재창조’로 세워 놓고도 국립 철도박물관 유치는 스스로 외면해 철도역사를 부정하는 모습을 보였기 때문이다.


15일 인천시와 각 지자체에 따르면 국립 철도박물관 유치와 관련 국토교통부는 지난 2014년 관련 기본용역을 실시했고, 이듬해 사전타당성 조사와 최적 후보지 선정 용역을 진행 중이다. 현재 국립철도박물관 유치 자치체는 전북 군산, 부산, 울산, 경남 창원, 경북 포항, 강원 원주, 경기 의왕, 충북 청주, 대전, 세종, 전남 나주 등 모두 11곳이다.

‘철도 역사의 본산’이란 명분을 앞세운 이들 지역의 유치전은 치열했다. 지역이 하나 돼 유치위원회를 구성하고 대대적인 서명전에 나섰는가 하면 지역 정치권도 한 몫을 했다는 후문이다.

원주는 중앙선 철도시설인 현 원주역사를 후보지로, 포항시는 포항역사가 1945년 준공 후 원형이 보존됐다는 장점을, 부산시는 미국 잉여재산 처리장 부지를, 창원시는 KTX 고속열차와 철도 제작·수출 업체가 있다며 장점을 부각하고 있다.

군산은 옛 임피역과 철도의 호남관문을 앞세우고, 의왕은 주변 철도시설 연계 등을 철도 상징성으로 집중 부각시키고 있다.


하지만 한국 철도가 시작된 ‘인천’의 역사적 사실을 뛰어 넘을 지자체는 없는데도 인천 스스로 이를 외면하고 있다.

관련기사



인천이 그간 수 없이 발행한 각종 시사에는 경인철도 기공식과 공사 현장, 최초의 화륜거(증기 기관차), 인천역 역사 등을 차례로 소개하고 있다. 인천 역사의 한페이지에 빼곡히 ‘경인선 개통’의 사실을 담고 있다.

민선 6시 인천시의 시정 목표는 ‘가치 재창조’이다. 인천만의 가치를 바탕으로 미래 인천을 설계하자는 큰 뜻으로 시 행정이 관련 사업을 추진 중이다. 여기에 국립시설이 단 한 곳도 없다는 점을 집중 부각시켜 각종 국가 사업을 인천으로 끌어오고 있다.

그러나 ‘인천’ 스스로가 철도 역사를 부정하는 우스운 꼴이 됐다.

인천은 경인선은 물론 부활한 수인선을 비롯해 인천발 KTX와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B), 인천신항 인입선, 인천공항 제2철도 등 과거와 현재, 미래를 잇는 철도 사업이 진행 중이다. 시가 ‘철도’의 중요성을 앞세워 철도과를 신설하지만 과거를 외면한 시 행정을 300만 시민 누구도 이해할 수 없는 상황이 되고 말았다.

인천 문화계 한 관계자는 “부평 미군기지와 인천 내항, 도화지구, 루원시티 등에 국립 철도박물관을 유치했다면 과거를 잇는 인천의 가치 재창조를 꽃 피울 수 있고, 연간 300만명의 관광 효과도 노릴 수 있었는데 아쉽다”면서 “지역 문화 가치 재창조도 결국 헛구호에 그친 꼴이 되고 말았다”고 말했다.

/인천=장현일기자 hichang@sedaily.com

장현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