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대우조선해양의 비리와 방만 경영이 속속 드러나고 있습니다.
수억의 뒷 돈을 챙긴 사장부터 회삿돈을 빼돌려 흥청망청한 직원까지. 경영진, 직원 할 것 없이 비리로 뒤얽힌 대우조선의 민낯이 여실히 드러났는데요. 이런 와중에 수조 원의 공적자금을 쏟아 부은 산업은행은 아무 역할을 하지 못했습니다. 앵커리포트입니다.
[기자]
사장부터 일반직원까지.
수사당국의 수사결과 드러난 대우조선해양의 숨겨진 직원 비리와 방만 경영은 그야말로 비리 백화점이었습니다.
최근 경찰은 지난 8년간 회삿돈을 180억원 가까이 빼돌려 아파트와 상가, 외제차, 명품등을 산 대우조선 전 직원을 구속했습니다.
이 직원은 회사가 어려워지기 시작한 2012년부터 지난해 사이에 집중적으로 자금을 횡령, 이후 1억여원을 받고 명예퇴직했습니다.
허위 거래명세서를 만드는 등 단순한 수법이었지만 대우조선에는 감사 등 내부 관리감독 기능이 전혀 작동하지 않았습니다.
경영 윗선에서도 비리는 만연했습니다.
남상태 전 대우조선 사장은 재직 기간동안 대학 동창인 정모씨에게 일감을 몰아주고 수억원의 뒷돈을 챙긴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경영진부터 일반 직원까지 회삿돈을 ‘눈먼 돈’처럼 빼돌릴 수 있었던 데는 대우조선이 사실상 ‘주인 없는’ 회사이기 때문입니다.
이런 와중에 국책은행인 산업은행은 최대주주로 있으면서 비리와 방만경영에 대해 어떤 통제도 하지 못했습니다.
산은 출신 퇴직자를 최고재무책임자와 사외이사로 줄줄이 내려 보냈지만, 이들은 무분별한 투자에 ‘찬성’표만 던지는 거수기 역할에 그쳤을 뿐입니다.
감사 결과 대우조선은 조선업과 관련 없는 자회사에 투자해 9,000억원이 넘는 손실이 발생했지만, 임원들에게 성과급 35억원을 부당지급했고 지난해에는 수조원의 적자를 기록하면서도 직원들에게 877억원의 격려금을 지급했습니다.
공적 자금을 회수할 의무가 있는 산업은행이 이런 상황을 내버려둔 탓에 부실 규모를 오히려 키웠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여기에 정치권과 채권단에 관련된 인물들이 상담역, 고문, 자문역 등의 이름으로 경영자문을 하고 수백에서 수억의 자문료를 챙기는 일도 허다했습니다.
현재 대우조선이 직면한 위기는 단순히 조선업의 불황 때문만은 아니라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서울경제TV 정하니입니다.
[영상편집 소혜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