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국민의당 "리베이트 정국 벗어나자" 선명 野 이미지 구축 시도

천정배 국민의당 공동대표(왼쪽)가 20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를 시작하고 있다. /연합뉴스천정배 국민의당 공동대표(왼쪽)가 20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를 시작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당이 리베이트 의혹에 휘말린 이후 강성모드로 변신하고 있다. 박승춘 보훈처장의 해임건의부터 박근혜 대통령이 거부했던 국회법 개정안의 재의결까지 요구하는 등 야당으로서의 선명성 확보에 열을 올리는 모습이다.

안철수 당 상임공동대표는 20일 김수민 의원과 박선숙 의원이 연루된 리베이트 의혹에 대해 다시 사과했다. 그는 “이유 여하를 막론하고 국민께 이번 일로 걱정을 끼쳐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며 “검찰 수사 결과 만에 하나라도 문제가 있을 시에는 지휘고하를 막론하고 어떤 고려 없이 당헌당규에 따라 엄정 단호하게 조치를 취하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안 대표는 리베이트 의혹이 막 불거지기 시작한 지난 10일 사과했지만 당내 진상조사단이 꾸려진 이후 말을 아끼며 의혹 진화에 나서기도 했다. 이날 다시 태도를 바꿔 머리를 숙이고 사과하면서 리베이트 의혹에서 제 살을 깎아서라도 마무리 짓겠다는 의지를 내비친 것이다.


그러면서 안 대표는 박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한 국회법 개정안의 재의를 정세균 국회의장에 요구했다. 청와대가 거부한 국회법 개정안을 다시 발의해 본회의에 상정해야 한다는 목소리는 더민주 내에서도 나왔지만 여야 갈등이 예견되는 만큼 신중론이 우세했다.

관련기사



안 대표는 “청와대가 얼토당토않은 이유로 (국회법 개정안에) 거부권을 행사했다”며 “19대 국회는 20대부터 일하는 국회를 만들라고 국회법 개정이라는 씨앗을 남겼다. 이 개정안에는 청문회 활성화만 담긴 게 아니었다. 이 국회법 개정안을 일하는 국회법이라고 불러야한다고 생각한다”고 이같이 말했다.

이외에도 국민의당은 박승춘 보훈처장의 해임건의안과 어버인연합 청문회 요구, 검찰의 ‘제식구 감싸기’ 등을 언급하며 리베이트 정국에서 벗어나고 제3 당으로서의 공간 확보에 열을 올리는 모습을 보였다.



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