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인사이드스토리] 대우조선 노조, 특수선 분할 끝까지 반대하는 이유는

채권단 방산부문 떼어내 해외에 매각 의도

모회사, 핵심 자산 없는 '배드컴퍼니' 될수도

대우조선해양 노동조합이 진퇴양난의 처지에 놓였다. 지난 14일 전 조합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파업 찬반 투표를 압도적 표차로 통과시켰지만 막상 파업을 결행하려니 정부와 채권단의 압박이 못내 걸린다. 금융당국과 채권단은 노조가 파업을 강행할 경우 계획된 1조원 규모의 추가 지원을 끊겠다고 공개적으로 경고하고 있다. 그럼에도 노조가 파업 카드를 부여잡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대우조선해양 노조는 채권단이 특수선 사업(방산 부문)을 100% 자회사로 분할해놓고 비(非)방산 부문이자 모회사인 대우조선해양을 배드컴퍼니로 만들어 청산시키거나 해외에 팔 수 있다고 주장한다. 방산 부문이 껴 있으면 방위사업법과 외국인투자촉진법 상 해외 매각이 사실상 불가능하지만 이를 떼어내면 매각이 가능할 것이라는 논리다. 노조 관계자는 “자회사로 분할한 방산 부문 지분 일부를 상장을 통해 매각해 3,000억원을 확보한다고 하는데 이는 현재 대우조선해양 재무 상황을 고려했을 때 푼돈에 불과하다”면서 “방산 부문을 제외한 나머지 사업을 해외에 매각하려는 속셈”이라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노조는 국내 조선업계 사정을 고려했을 때 국내보다는 우수한 기술력 확보에 혈안이 돼 있는 해외, 그중 중국에 매각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보고 있다. 해외 매각에 대한 여론 부담 탓에 매각이 당장 추진되지는 않겠지만 중장기적으로 봤을 때 채권단이 방산 부문이 빠진 대우조선해양을 결국 해외에 매각할 것으로 노조는 확신하는 분위기다. 구조조정 과정에서 해외 매각이 이뤄진 과거 몇몇 자동차와 전자·전기 업체 사례를 봤을 때 특허와 인력 등 핵심 자산은 쏙 빼간 채 껍데기만 남겨질 것이라는 얘기다.

20일 중앙노동위원회에 노동쟁의 조정 신청을 내며 본격적인 파업 수순을 밟고 있는 현대중공업 노조가 주장하는 바도 조직 일부를 분사하는 방안에 반대한다는 점에서는 대우조선해양과 다르지 않다. 현대중공업은 994명의 정규직 인력이 속한 설비지원 부문을 분사해 자회사로 두려는 계획을 갖고 있는데 노조는 이 같은 계획에 대해 “분사할 이유가 없다”며 맞서고 있다. 현대중공업은 다음주 설비지원 부문 분사 절차를 강행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