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KAI, 한국형전투기 기체 형상 설계 위한 첫걸음 착수

22일 대전 항우연 저속풍동시험실에서 열린 ‘KF-X 저속풍동시험 착수행사’에서 정광선(앞줄 왼쪽 다섯번째부터) 방위사업청 KF-X 사업단 단장, 장성섭 한국항공우주산업(KAI) 개발부문 부사장, 김인선 항우연 부원장 등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국내·외 전문기관에서 진행되는 KF-X 풍동시험은 형상 최적화를 위한 1단계(2016~17년)와 형상확정을 위한 2단계(2017~18년), 확정형상에 대한 상세 데이터 확보를 위한 3단계(2018~20년) 과정으로 진행되며 총 1만3,000여 시간 동안 저·고속풍동, 강제진동, 흡입구 풍동 등의22일 대전 항우연 저속풍동시험실에서 열린 ‘KF-X 저속풍동시험 착수행사’에서 정광선(앞줄 왼쪽 다섯번째부터) 방위사업청 KF-X 사업단 단장, 장성섭 한국항공우주산업(KAI) 개발부문 부사장, 김인선 항우연 부원장 등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국내·외 전문기관에서 진행되는 KF-X 풍동시험은 형상 최적화를 위한 1단계(2016~17년)와 형상확정을 위한 2단계(2017~18년), 확정형상에 대한 상세 데이터 확보를 위한 3단계(2018~20년) 과정으로 진행되며 총 1만3,000여 시간 동안 저·고속풍동, 강제진동, 흡입구 풍동 등의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은 22일 대전 항우연 저속풍동시험실에서 ‘KF-X 저속풍동시험 착수행사’를 열고 KF-X의 기체 형상 설계를 위한 풍동시험에 착수했다.

국내·외 전문기관에서 진행되는 KF-X 풍동시험은 형상 최적화를 위한 1단계(2016~17년)와 형상확정을 위한 2단계(2017~18년), 확정형상에 대한 상세 데이터 확보를 위한 3단계(2018~20년) 과정으로 진행되며 총 1만3,000여 시간 동안 저·고속풍동, 강제진동, 흡입구 풍동 등의 세부 시험을 수행하게 된다.


이날 항우연에서 착수되는 ‘저속풍동시험’을 시작으로 1단계 풍동시험이 본격 시작되며 1~2단계 풍동시험이 완료되는 ‘18년 중반 기체형상을 확정할 계획이다.

‘저속풍동시험’은 KF-X 탐색개발 형상인 C103에서 발전된 C105 형상의 1/13 정밀 축소 모델을 이용해 풍속 70m/s의 저속 조건에서 기체, 랜딩기어, 외부무장 형상에 미치는 비행특성을 측정하는 시험이며 기간은 총 2개월이 소요된다.


김철완 항우연 항공기술연구단 단장은 “항우연은 ‘99년부터 자동차, 선박은 물론 수리온, KC-100 등 국산항공기 개발 참여를 통해 국내 풍동시험 기술을 발전시켜왔다”며 “온 국민의 염원인 한국형전투기 개발 성공을 위해 이번 시험이 적기에 완료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13년 간의 검토를 거쳐 작년 말 어렵게 착수된 KF-X 체계개발 사업은 적정예산 확보 등 범정부차원의 지원은 물론 철저한 사업관리를 통해 순조로운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지난 1월 ‘체계개발 착수회의’ 이후 3월 체계요구조건검토회의(SRR)를 통해 KF-X의 기술적 요구 사항을 확정했다. 현재 이를 토대로 세부 기능별 설계가 진행 중으로 올 12월 체계기능검토회의(SFR)가 개최될 예정이다.

오는 2026년 6월 완료가 목표인 KF-X 체계개발 사업은 2018년 기본설계(PDR)를 마무리하고 다음 해까지 상세설계(CDR)를 진행해 2021년 시제1호기 출고, 2022년 초도비행을 목표로 하고 있다.

류광수 KAI 고정익 개발본부장(상무)는 “풍동시험 착수로 KF-X 체계개발이 한 단계 더 나아 갔다”며 “10.5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진행되는 사업인 만큼 정부와 산·학·연 모두가 힘을 합쳐 철저히 준비해 반드시 개발에 성공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행사에는 정광선 방위사업청 KF-X사업단 단장을 비롯해 국방부, 공군, 방산기술지원센터, 항우연, KAI, 록히드마틴 등 총 50여 명의 관계자가 참석했으며 KF-X 개발경과 및 풍동시험 계획을 공유하고 성공적 시험수행을 위한 결의를 다졌다.



박재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