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정부 '경고등'에도 강남 올해 최고 상승률 기록

서울 강남구가 올해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지난주부터 정부가 부동산 시장 과열에 대해 경고음을 내보냈지만 서울 강남권 아파트 가격은 이에 아랑곳하지 않는 모습이다.

한국감정원은 20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서울은 0.11%, 수도권은 0.07% 오르며 전주보다 상승폭이 확대됐다. 재건축 아파트 투자 수요가 서울과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격을 이끌어 올리는 모습이다. 반면 지방은 -0.03%를 기록하며 전주와 동일한 수준을 기록했다.



서울은 강남권 재건축아파트 가격이 지속적으로 뛰어오르면서 상승 폭을 키워나갔다. 특히 강남구는 0.35% 상승률을 기록하며 오래 들어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서초구(0.18%)와 송파구(0.09%), 강동구(0.17%)도 모두 전주보다 상승 폭이 모두 확대됐다.


감정원 관계자는 “강남권의 경우 재건축 아파트의 고분양가에도 불구하고 높은 청약률과 분양권 거래 급증 현상을 보이고 있다”며 “수도권도 경기도 과천 등 인기 지역의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투자수요가 이어지며 상승 폭이 확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지방은 제주도(0.04%) 상승 전환하고 대전(0.00%) 역시 하락세를 멈췄지만, 세종시의 불법전매 조사 장기화에 따른 거래위축, 울산 등지에서는 지역 산업 경기 위축으로 약세를 보였다.

한편 전국 아파트 전세 가격(0.04%)은 지난주와 동일한 상승률을 유지했다. 수도권(0.09%)은 서울과 경기는 상승 폭 확대, 인천은 상승 폭이 유지되며 전체적으로는 지난주 보다 상승세가 커졌고, 지방(-0.01%)은 부산과 충북 등은 상승 폭이 확대된 반면, 충남과 경남이 하락 폭이 늘면서 3주 연속 동일한 하락률을 기록했다.



박성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