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지자체 24곳 과열 유치경쟁에... 국립한국문학관 설립 '올스톱'

내달 후보지 선정 앞두고 중단

문체부 "문학계와 논의 거쳐

중장기 종합대책 하반기 수립"

2019년까지 건립 차질 불가피

정관주 문화체육관광부 1차관이 24일 오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국립한국문학관 추진을 ‘무기한 중단’한다고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정관주 문화체육관광부 1차관이 24일 오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국립한국문학관 추진을 ‘무기한 중단’한다고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 문학의 총본산 역할을 맡게 될 국립한국문학관 설립을 위한 모든 추진 절차가 잠정 중단된다. 이에 따라 내달 후보지를 선정하고 2019년까지 건립한다는 일정에 차질이 불가피 할 뿐 아니라, 자칫하면 건립 계획 자체가 좌초할 수도 있을 것으로 우려된다.

정관주 문화체육관광부 1차관은 24일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지방자치단체(지자체) 간 소모적인 유치 경쟁으로 번지고 있는 국립한국문학관 추진을 무기한 중단하고, 문학계 등의 의견수렴을 거쳐 더욱 근본적인 대안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문체부는 지자체 간 과열 경쟁 상황에서 후보지를 선정할 경우 선정되지 않은 지자체의 반발이 거셀 것으로 판단해 당초 계획을 변경한 것으로 보인다. 정 차관은 “지자체 간 배수진을 친 유치 경쟁이 과열되면서 불필요한 갈등과 혼란이 심화되는 상황에서는 후보지가 선정되더라도 반발과 불복 등 심각한 후유증이 우려된다”고 지적하며 “현 상황에서 건립 후보지 선정 등을 서두르는 것이 최선이 아니라는 판단하에 당초 계획을 변경, 조정하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그동안 문체부는 건립 부지 선정을 위해 지난 5월 3~25일 지자체를 대상으로 부지 공모 신청을 접수받아 그 결과를 7월 중에 발표한다고 계획하는 등 국립한국문학관 조성을 추진해온 바 있다. 전국 24개 지자체가 유치 신청을 한 가운데 최근 지자체 간의 유치경쟁이 과열 양상을 띠며 ‘문학’보다는 지자체 간 배수진을 친 자존심 경쟁으로 왜곡됐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2515A18 국립한국문학관 추진 일정 수정12515A18 국립한국문학관 추진 일정 수정1


다만 문체부는 문학관 설립 자체를 공식적으로 중단한 것은 아닌 만큼 후속조치를 이어갈 계획이다. 정 차관은 “국립한국문학관에 보여준 전국적 관심과 기대에 부응할 수 있도록 한국문학의 세계화와 대중화, 지역 문화자원 연계, 문학정책 전담기구 검토 등을 포함한 ‘한국문학 진흥 중장기 종합대책’을 올 하반기 중 수립하겠다”고 말했다.

문체부는 문학계와의 충분한 논의와 자문, 연구를 통해 올 하반기 수립할 종합대책에는 ▲국립한국문학관의 합리적인 추진 방안 ▲한국문학의 세계화와 대중화 지원 ▲지역문학관 활성화 지원 ▲문학진흥 정책 전담기구 검토 등 문학계와 지자체와의 협력 방안을 담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 차관은 “국립한국문학관 유치에 보여준 지역의 관심이 뜨거웠던 만큼 이번 결정으로 인한 문학계와 지역주민의 실망감도 클 것이기에 더욱 안타깝고 죄송스럽게 생각한다”면서 “한국문학에 대한 최근의 전국적 관심과 애정에 부응하여 앞으로 합리적인 대안을 도출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박성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