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브렉시트 후폭풍]주형환 장관 "시나리오별 대응 전략 짤 것"

금융불안의 실물 전이 막기 위해 일일 동향 보고 체계 가동

주형환(왼쪽) 산업부 장관이 27일 서울 중구 플라자 호텔에서 ‘제2차 신산업 민관 협의회’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제공=산업부주형환(왼쪽) 산업부 장관이 27일 서울 중구 플라자 호텔에서 ‘제2차 신산업 민관 협의회’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제공=산업부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7일 브렉시트(Brexit·영국의 EU 탈퇴)와 관련해 “발생 가능한 시나리오별 영향을 분석하고 대응전략을 마련해 신속하고 단호하게 대처할 것”이라고 밝혔다.

주 장관은 이날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제2차 신산업 민관협의회’에서 “관계 부처, 전문기관 등과 함께 영국과 EU의 탈퇴협상 추이를 면밀히 모니터링할 것”이라며 “한국과 영국·한국과 EU 간의 교역과 투자, EU의 경기 위축, 금융 변동성 확대, 중국 등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 등을 살펴볼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대다수 전문가는 한국과 영국의 교역과 투자 규모, 영국과 EU의 탈퇴협상 일정 등을 고려할 때 브렉티스가 수출, 투자, 통상 등 우리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단기적으로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며 “다만 산업부는 금융 부문의 변동성이 실물 부문으로 전이되지 않도록 ‘실물경제 상황점검반’과 일일 동향 보고 체계를 가동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 기업과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국익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필요시 한·영 FTA 협상 등 다양한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우리나라의 지난해 대영 수출은 73억 9,000만달러(약 8조 6,700억원)로 전체의 1.4% 규모다. 크지는 않지만 유럽 전반으로 혼란이 이어질 경우 수출에도 적잖은 타격을 줄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영국은 리스본 조약 50조(출구조항)에 따라 향후 2년간 EU와 탈퇴협상을 진행할 예정이며 공식 탈퇴 전까지 한·EU FTA 등 기존 협정의 효력은 그대로 유지된다.

주 장관은 “우리 기업이 대(對)영국 수출, 투자 등에서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정부 차원에서 다각적으로 노력할 것”이라며 “보다 근본적으로 산업구조를 고도화해 산업경쟁력을 강화하고 새로운 대체 수출주력 품목을 창출하는데 정책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