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기고] 기술이전 통해 '서랍 속 기술' 사업화를

강남훈 산업단지공단 이사장



서랍 속 ‘기술 씨앗’을 사업화로 연결해 ‘죽음의 계곡’을 탈출하자!

창조적이고 혁신적인 기술과 아이디어를 기업에 이전해 사업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전 사업이 국가적 화두가 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지난 4월 말 반월·시화국가산업단지에 의미 있는 모임이 결성됐다. 국내 유수의 국책연구기관과 대학 등 13개 기관이 참여하는 ‘스마트허브 기술이전·사업화 지원협의회’가 그것이다. 우수 기술을 산업현장에 이전해 미래 먹거리 산업을 창출하도록 지역 혁신주체들이 공동으로 협의체를 구성했다.

지난해 한미약품이 8조원에 가까운 초대형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한 후 기술이전이 국가적 관심사가 되는 가운데 관련기관들이 기술 사업화 지원을 위한 지역 플랫폼을 구축했다는 점에서 매우 시의적절한 것으로 생각된다.

올해 우리나라 연구개발(R&D)비 총액은 약 65조원으로 국내총생산(GDP)의 4.3%에 달해 세계 1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R&D 투자 효율성은 미국·일본·독일 등의 30~50% 수준에 그친다. 중소기업의 R&D 성공률은 96%에 달하지만 사업화 성공률은 47%로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실용화하기에는 완성도가 미흡한 단순 신제품 개발보다 사업화 연계 연구개발(R&BD)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이유다. 이에 따라 정부의 R&D 지원정책 방향도 단순 기술개발보다 사업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 공공연구개발 성과물들을 산업현장으로 적시에 이전하고 상품화해 중소기업들을 기술혁신 강소기업으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관련기사



이를 위해 정부는 기술은행(NTB), 연구기관, 대학의 기술이전조직(TLO) 등을 통해 연구개발 결과물이 기업에 원활하게 이전될 수 있도록 각종 지원정책을 운영하고 있다.

전국 9만여 산업단지 입주기업을 지원하는 한국산업단지공단도 11개 지역본부 조직을 통해 산업단지별 기술이전 페어(fair)를 추진하는 등 기술 유통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 기술을 이전받은 기업들이 추가 R&D를 통해 사업화에 성공할 수 있도록 이전기술 사업화 지원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무한경쟁 시대에 기술거래를 통해 신사업을 창출하고 기존 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실현하는 것은 중소기업의 생존과 지속적인 성장동력 확보에 매우 유효한 수단이라고 생각된다.

자금력과 기술개발 인력이 턱없이 부족한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기술이전을 통해 신사업 추진에 필요한 기술을 단기간에 확보할 수 있어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정부출연 연구소나 대학을 기업 싱크탱크로 활용하는 효과도 누릴 수 있으며 기술이전을 통한 사업화 성공사례를 공유하면서 시행착오를 최소화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오픈이노베이션(개방형 혁신)을 통해 기술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고 사장된 연구개발 성과물을 적극 활용함으로써 ‘기술낭비’의 비효율성을 제거해나가는 것이 창조경제의 첩경(捷徑)이다.

강남훈 산업단지공단 이사장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