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유연근무제 도입 기업 10곳 중 9곳 “일·가정 양립, 생산성 향상 효과”

대한상의, 유연근무제 도입기업 조사

유연근무 활용률 선진국보다 낮아 … 인건비 부담에 도입 어려워

면대면 업무방식·비과학적 업무평가등 기업문화 개선 선행 돼야

근로시간을 융통성 있게 조정하는 유연근무제를 도입한 기업 10곳 중 9곳 이상이 일·가정 양립과 생산성 향상 등 긍정적인 효과를 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선진국에 비해 도입률이 낮은 유연근무제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인건비 등 기업부담을 완화하고 면대면 업무를 중시하는 기업문화와 인사괸리·평가 시스템을 바꾸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300개사(도입 150개사, 검토중 150개사)를 대상으로 ‘기업의 유연근무제 도입실태’를 조사해 27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유연근무제를 도입한 기업의 92.8%가 제도시행 결과에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자 측면에서 만족도가 높아 ‘일·가정 양립에 도움이 되었다’는 응답(복수응답)이 96.7%, ‘직무만족도가 높아졌다’는 응답이 96.0%에 달했다. 기업측면에서도 ‘생산성 향상’(92.0%), ‘이직률 감소’(92.0%), ‘우수인재 확보’(87.3%) 등 긍정적인 효과를 거두는 것으로 조사됐다.

정부가 올해 중점과제로 추진하고 있는 ‘전환형 시간선택제’에 대한 만족도도 높았다. 전환형 시간선택제를 도입한 기업의 93.8%가 ‘생산성 향상, 근로자 만족도 제고, 업무 집중도 증대, 기업 이미지 제고 등의 효과를 거뒀다’고 답했다. ‘별다른 효과가 없다’는 기업은 6.2%였다.


이 같은 유연근무제 도입의 긍정적 효과에도 불구하고 국내 기업의 활용률은 22.0%에 그치고 있어 선진국에 비해 크게 낮은 실정이다. 근로자가 출퇴근 시간을 자유롭게 선택하는 시차출퇴근제의 경우 우리나라의 도입률은 12.7%로, 미국(81.0%), 유럽(66.0%)보다 낮다. 시간제도 유럽 기업의 69.0%가 활용하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는 11.3%에 불과하다. 탄력적 근로시간제와 재택근무 도입률도 각각 9.2%와 3.0%에 머물고 있다.

관련기사



대한상의는 “우리보다 먼저 저출산·고령화를 경험한 선진국의 경우 일·가정 양립과 기업의 생산성 향상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 유연근무제 활용이 활발하다”면서 “과거의 일하는 방식에 머물기 보다는 유연근무제 도입 등을 통해 달라진 시대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유연근무제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인건비 등 기업부담을 완화하고 기업문화와 시스템을 바꾸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연근무제 도입을 검토중인 기업을 대상으로 도입 애로요인을 물어본 결과 ‘대체인력 채용에 따른 인건비 부담’(24.7%), ‘기존 근로자의 업무가중에 따른 불만’(23.3%), ‘근무조정, 평가 등 인사관리의 어려움’(22.7%), ‘적절한 대체인력을 뽑지 못하는 어려움’(14.7%)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상의는 “유연근무제도를 도입한다고 모든 기업이 성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은 아니다”며 “면대면(面對面) 업무방식과 장시간 근로관행 등 기업문화를 개선하는 것이 선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유한킴벌리의 경우 면대면 업무방식을 개선하고 객관적인 인사평가시스템을 구축한 후 재택근무나 시차출퇴근제 등 유연근무제를 성공적으로 정착시킨 사례로 꼽힌다. 유한킴벌리는 유연근무제를 도입한지 1년만에 매출이 10% 이상 늘었다. 김인석 대한상의 고용노동정책팀장은 “저출산 고령화 현상이 심각해 저성장 함정이 예상되는 만큼 여성의 경력단절을 막고, 출산친화적인 기업환경을 조성해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며 “기업은 기업문화 선진화와 함께 유연근무제 도입에 적극 나서고 정부는 제도도입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성행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