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서울경제TV] 뜻밖 악재에 ‘집단대출 규제’ 바뀌나

전문가 “집단대출 규제, 부동산시장 악재될 것”

중도금 대출 제한하면 아파트 시장 급랭 전망

분양시장 과열 양상에 고민 깊어진 금융당국

이번주 집단대출 규제 발표 늦춰질 가능성도

1인 2건·3억원 제한… 기존 방침 시행 미지수







[앵커]


정부가 신규 분양 아파트의 중도금 대출 등 집단대출 규모를 1인당 2건, 최대 3억원으로 줄이는 방안을 검토 중인데요. ‘브렉시트’라는 돌발 변수까지 겹치면서 투자 심리가 주춤해진 가운데, 집단대출 규제가 당초 알려진 대로 시행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한지이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브렉시트 쇼크가 부동산경기를 얼어붙게 할 것이란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부동산시장의 이목은 집단대출 규제로 쏠리고 있습니다.

‘뜻밖의 변수’인 브렉시트 충격에 더해 분양시장에 ‘핵폭탄급’ 냉각재가 될 집단대출 규제를 과연 정부가 곧바로 시행할 수 있겠느냐는 지적입니다.

전문가들은 집단대출 규제가 부동산시장에 악재로 작용할 수 밖에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분양권 투자 활성화로 분양시장이 활기를 띄고 있고, 강남 재건축아파트의 높은 분양가가 인근 기존 아파트 가격을 밀어올려 거래량도 늘리고 있는 게 현실이기 때문입니다.


이와는 달리 적은 돈으로 분양권 투자를 할 수 있게 해주는 중도금 대출이 막히면 거꾸로 분양시장이 침체되고, 이는 아파트시장을 급랭시킬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관련기사



[인터뷰] 심교언 / 건국대학교 부동산학과 교수

“지금 서울·부산 외에는 부동산 시장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데 그나마 버티고 있던 부동산 경기마저 다 죽이는 결과가 나오지 않겠느냐…”

그러나 한사람이 다수의 분양권을 사는 등 투기를 해 거품을 일으키고, 불법전매와 떳다방 등 불법거래가 횡행하고 있는 것도 엄연한 사실이어서 정부의 고민은 깊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브렉시트를 이유로 집단대출 규제를 하지 않는다면, 다시 분양권시장이 과열돼 큰 부작용을 낳을 수 있어서입니다.

정부와 업계에 따르면 집단대출 규제는 이르면 이번주 시행이 예상됐습니다.

하지만 브렉시트 탓에 시기는 늦춰질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1인당 2건 이내, 총 3억원 이하로 집단대출 보증한도를 줄여 실수요자들만 이용할 수 있게 하겠다는 계획도 원안대로 시행될지 미지수입니다.

이럴 경우 5억원 이상 집단대출 보증 한도를 초과하게 돼 브렉시트 현실화 전부터 “너무 조이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높았던 상황입니다. /서울경제TV 한지이입니다.

[영상편집 김지현]

한지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