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황교안 총리 텐진다보스포럼 기조연설 "韓, 창조적 혁신 노력 통해 브렉시트 영향 선제적 대응"

황교안 총리 기조연설

황교안 국무총리가 27일 중국 톈진 메이지앙 컨벤션 센터에서 열린 ‘하계 다보스 포럼’ 개막식장에 리커창 중국 총리와 함께 들어서고 있다. /총리실 제공황교안 국무총리가 27일 중국 톈진 메이지앙 컨벤션 센터에서 열린 ‘하계 다보스 포럼’ 개막식장에 리커창 중국 총리와 함께 들어서고 있다. /총리실 제공




황교안 국무총리는 27일 중국 톈진에서 열리고 있는 ‘2016 하계 다보스포럼’에서 “창조적 혁신을 통해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Brexit)가 미칠 영향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황 총리는 이날 저녁 ‘제4차 산업혁명과 한국의 대응’을 주제로 한 특별 세션에 참석, 기조연설을 통해 제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우리나라의 정책을 소개하며 이같이 밝혔다.


황 총리는 세계 경제와 관련해 “아직 침체의 늪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지난주 브렉시트 국민투표 결과로 더욱 더 불확실한 상황에 직면하게 됐다”고 진단했다. 또 “이러한 도전들을 타개해나가기 위해서는 새로운 성장동력원을 찾고 생산성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이 긴요하다”면서 ‘제4차 산업혁명’을 대응책으로 제시했다.

관련기사



이와 함께 황 총리는 한국 정부의 금리 인하 등 경기부양정책과 창조경제 등 경제혁신3개년계획, 공공·교육·노동·금융 등 4대 구조개혁 등 정책의 성과가 가시화되고 있다고 소개하고 “이는 한국 경제가 제4차 산업혁명이라는 파고를 성공적으로 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또 “제4차 산업혁명의 도전을 기회로 만들어나가기 위한 우리의 창조적 혁신 노력을 통해 브렉시트가 세계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도 선제적으로 대응해나가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황 총리는 기조연설에 이어 하계 다보스포럼을 주관하는 세계경제포럼(WEF)의 클라우스 슈바프 회장과 대담을 갖고 창조경제혁신센터의 구체적 성과(2,300여개 창업기업과 지역 중소기업 지원) 및 한국형 창조경제 모델의 국제적 확산 현황(불가리아·사우디아라비아·브라질·중국 등), 신산업 육성을 위한 규제개혁의 사례 등을 설명했다.

/톈진=노희영기자 nevermind@sedaily.com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