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하반기 경제정책]일문일답 "추경해도 세수 결손은 없도록 한다"

“성장률 전망에 브렉시트 영향 반영 안 돼…추경엔 반영”

정부가 작년 세계잉여금과 올해 예상되는 초과 세수로 10조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편성한다. 정부는 초과 세수 활용에 대해 “정부 예상이 빗나가 올해 하반기에 세수 결손이 나는 사태가 없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호승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장은 하반기 경제정책 방향 발표를 하루 앞둔 27일 정부 세종청사에서 열린 사전 브리핑에서 “적자 국채 발행은 생각하지 않고 있다”며 “10조원 수준의 추경을 편성할 만큼 가용할 자원이 된다”고 말했다.


올해 성장률 전망 수정치(2.8%)에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Brexit)가 반영 여부에 대해서는 “브렉시트가 하방 위험 요인이 되는 건 맞지만 계량해서 반영하기 어려웠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브렉시트가 하반기에 상당한 하방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해 추경 여부 및 규모를 결정했다”고 했다.

■추경 규모를 결정한 근거는.

=작년 일반회계 세계잉여금에서 남은 1조 2,000억원이 추경 재원이 될 수 있다. 올해 말까지 발생할 초과 세수 규모는 세제실에서 추정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적자 국채 발행은 현재 생각하지 않고 있다. 10조원 수준의 추경을 편성할 만큼 가용할 자원은 된다고 판단하고 있다. 정부의 예상이 빗나가 하반기에 세수 결손이 생기면 어떡하느냐 하는 지적도 있는데 무리하게 초과 세수를 잡아 세수결손이 나는 사태는 당연히 없도록 할 것이다.

■자동차 교체 개별소비세 인하 대상을 일반 승용차를 배제하고 노후 경유차로만 한정한 이유는.

=미세먼지, 오염물질 배출의 주된 대상이 노후 경유차라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디젤차량 배출가스 기준을 보면 2006년 기준이 2016년 기준보다 9배나 높고 2000년은 25배나 됐다.


■올해 성장률 전망에 브렉시트 영향이 반영됐나.

관련기사



=20조원의 재정보강이 없을 때 올해 성장률을 2% 중반 정도로 봤다. 성장률 전망에 브렉시트를 반영할지, 반영한다면 얼마나 할지 토의했는데, 불확실성이 매우 컸다. 브렉시트가 하방 위험 요인이 되는 건 맞지만 계량하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공휴일 제도 개편 방향은.

=작년, 올해와 같이 임시 공휴일이 생기면 공휴일이 생겼다 안 생겼다 하는 문제가 있다. 주중에 공휴일이 끼면 업무 효율성이 떨어지는 측면도 있다. 미국, 일본 등은 요일 지정 휴일제를 한다. 연구용역, 공청회를 거쳐서 어떤 식으로 예측 가능하게 연휴를 만들어갈지 논의하겠다.

■노후 차 개소세 감면으로 몇 대나 교체될 것으로 보는가.

=10년 이상 된 노후 승용차는 100만대가 조금 안 되는데 10만대 가까이 전환될 것으로 보고 있다. 개소세 인하 혜택이 대당 100만원 미만이라고 하면 비용은 900억∼1,000억원 정도로 본다.

■성장률 전망에는 브렉시트가 반영되지 않았다고 했는데 추경에는 반영됐나.

=성장률 전망에서는 브렉시트 영향을 계량화해서 넣기는 성급하지만 추경과 관련해서는 분명히 고려했다. 추경과 관련해서는 추경을 하느냐 마느냐, 추경 규모가 얼마나 되나 등과 같은 결정이 필요한데 브렉시트가 하반기에 발생할 상당한 하방 위험 요인임을 고려해서 추경 여부 및 규모도 결정됐다.

/구경우기자 blursquare@sedaily.com

김정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