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北 최고인민회의 개최, 전문가 "김정은 대관식 완결판"

인사·조직 개편으로 김정은 독재체제 구축 조치 예상

김일성 시대 중앙인민위원회 신설 가능성 제기

대외관계, 미국 향해 평화협정 체결 요구 등 공세 나설듯

(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28일 만수대의사당에 있는 김일성·김정일 부자 동상을 방문한 북한 최고인민회의 의원들.(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28일 만수대의사당에 있는 김일성·김정일 부자 동상을 방문한 북한 최고인민회의 의원들.





북한이 29일 평양에서 최고인민회의를 개최했다. 앞서 북한은 관영매체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지난 7일 최고인민회의 개최 일자를 공개했고 28일에는 김영남·황병서·박봉주·최룡해 등 최고인민회의 참가자들이 평양 만수대의 김일성·김정일 동상에 헌화한 사실을 보도했다.

관련기사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이번 최고인민회의에서 지난달 열린 7차 노동당대회의 후속조치들을 통해 김정은의 독재 체제 구축을 마무리하는 조치들이 단행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수석 국가안보전략연구원 통일전략연구실장은 “이번 최고인민회의 회의는 ‘김정은 대관식의 완결판’”이라며 김정은의 직함 변화, 박봉주 내각 총리 역할 강화 등 인사·조직개편 가능성에 주목했다. 정성장 세종연구소 통일전략연구실장은 “과거 김일성 시대의 핵심 국가 권력기관이었던 ‘중앙인민위원회’를 부활시켜 김정은이 중앙인민위원회 위원장직에 취임하고 국방위원회를 중앙인민위원회의 산하기구로 포함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선군정치’를 내세웠던 김정일 시대의 국방위원회보다는 중앙인민위원회가 김정은의 ‘핵·경제 병진 노선’에 더 부합하는 통치기구가 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도 북한 주요 기관의 인사·조직 개편 가능성을 예상하면서 “김정은 유일 체계를 강화하는 차원에서 ‘200일 전투’와 같은 새로운 대중운동을 만들어내고 노동당대회 결의사항들을 관철하기 위해 분위기를 띄울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향후 북한의 대외 행보에 대해서는 “북한이 무수단 미사일 발사에 성공했다고 주장하면서 대외 관계, 특히 미국과의 관계에서 끌려가지 않고 강한 톤으로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 있다”고 내다봤다. 김근식 경남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북한이 그 동안 꾸준하게 요구해온 (북미)평화협정 체결 문제를 다시 거론할 수 있고 과거 선례로 미뤄볼 때 외무성 등에서 채택한 이전의 대미성명을 추인하는 형태로 대미 관계에 적극성을 보일 수 있다”고 예상했다.

박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