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은행

취약업종 관련 中企 대출 62조…구조조정 충격 전이 우려

IBK경제연구소 "좀비기업 은행권 대출만 4.2조"

조선 해운 등 주요 취약업종에 대한 구조조정이 본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하청업체와 협력기업 등 관련 중소기업으로 충격이 전이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IBK기업은행 산하 IBK경제연구소는 5일 ‘2016년 하반기 경제 및 중소기업 전망’ 보고서에서 조선·해운·철강·석유화학·건설 등 주요 취약업종과 관련된 은행권의 중소기업대출 잔액이 약 62조5,000억원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정부는 조선·해운·철강·석유화학·건설 등 5개 업종을 취약업종으로 지정하고 올해 구조조정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들 업종은 측히 대기업에 의존하는 중소 협력업체와 하청업체가 많아 구조조정 과정에서 고통이 전이될 가능성이 높다.


기업은행은 구조조정 대상 대기업과의 매출 비중이 30% 이상인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잔액이 약 5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기업 가운데 회사채 신용등급이 BBB 이하인 경우도 1조9,000억원에 달했다.

관련기사



연구소는 또 금융혜택을 통해 연명하는 좀비기업에 대한 은행권의 중소기업대출도 약 4조2,000억원으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좀비기업은 영업이익으로 이자조차 낼 수 없거나 영업 현금흐름이 마이너스를 기록하는 등 자본잠식 상태에서 만기연장이나 금리보조로 연명하는 기업을 말한다.

실제로 취약업종 구조조정의 충격이 전이되면서 중소기업의 신용위험이 확대됨에 따라 은행권 대출 태도가 신중해져 중소기업 자금 사정은 더 어려워질 전망이다. 중소기업에 대한 국내 은행의 대출태도 지수는 지난해 2·4분기 9를 기록했으나 4·4분기 -3으로 떨어졌고, 올해 2·4분기에는 -9까지 내려갔다.

연구소는 “하반기 부실기업이 점진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은행이 우량기업으로 대출을 집중해 자금 사정 양극화가 가시화될 것으로 보인다”며 “중소기업 구조조정 제도인 ‘패스트트랙(fast track)’, 기업회생 프로그램인 ‘체인지업(change up)’ 등 은행권의 선제적 건전성 관리가 시급하다”고 밝혔다.

이주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