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안전처, 지진피해 연구 결과 축소 의혹 논란

대학 보고서 부정, 뒤늦게 "맞다"

울산지진 재난문자도 잘못보내

국민안전처가 한반도 지진 피해 연구용역의 결과를 축소하려 했다는 의혹이 일고 있다. 한 대학 연구팀의 연구에서 대형 지진 때 276만명이 사망할 수 있다는 결과가 나오자 서둘러 ‘사실무근’ 해명자료를 내놓았다가 닷새 만에 ‘맞다’고 돌아섰다.

관련기사



6일 안전처는 최근 논란이 된 김형준 서울시립대 교수의 ‘지진재해로 인한 사회·경제적 피해예측 모델 개발’ 최종 보고서와 관련해 “연구진이 지적한 지진피해 규모는 맞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4월 안전처에 제출한 보고서를 통해 “서울에 규모 7의 지진이 발생하면 사망자가 275만6,000명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 건물 등 시설물 등의 직간접 피해액도 2,848조원에 달할 것으로 관측됐다. 이런 내용을 지난 1일 한 언론이 보도하자 안전처는 ‘사실은 이렇습니다’라는 보도자료를 통해 “김 교수에게 확인한 결과, 인명피해의 경우 연구 최종보고서의 단위가 잘못된 상태에서 보도된 것으로 확인됐다”며 “사망을 애초 276만명에서 2만7,581명으로 정정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6일 안전처 지진방재과에 확인한 결과 “김 교수 측에 며칠 전 문의를 했는데 276만명이라는 숫자가 맞다는 것을 어제 통보받았다”고 “결과적으로 언론보도에 대한 설명자료에 오류가 있었다”고 말했다. 결국 안전처는 연구를 진행한 교수에게 확인도 하지 않은 상황에서 지진 사망자 수치를 제멋대로 축소한 해명자료를 내놓은 것이다. 안전처 관계자는 “보도 설명자료의 경우 교수진에 확인을 요청하는 과정에서 배포된 것”이라며 “최종 확인되지 않은 내용을 단정적으로 부정한 꼴이 된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또 안전처는 전날 발생한 울산 지진 대응과정에서도 울산시 4개 구와 경남 4곳의 시군 주민들에게 지진 발생 일자를 4일로 잘못 적은 휴대폰 문자를 대량으로 발송해 물의를 빚기도 했다.

한영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