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부산 지진대피소·공공시설물 절반 이상 내진설계 안 돼 있어

지진대피소 302곳 중 내진 설계 적용 129곳에 불과

공공시설물 2,027개 중 내진 설계 적용 건물 502개에 그쳐

부산 시내 지진대피소의 절반 이상이 내진 설계가 돼 있지 않아 비상상황 때 무용지물인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시의회 박성명 의원이 부산시로부터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시내 지진대피소 302곳 중 내진 설계를 적용한 곳은 129곳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57%가 내진 설계가 돼 있지 않은 것이다.

지진대피소에 수용할 수 있는 인원 역시 14만1,494명으로 부산 인구의 3.97%에 불과하다.

박 의원은 “과거에 지어진 건물을 대피소로 지정하다 보니 이런 상황이 발생했다”며 “내진 설계를 적용한 건물로 대피소를 확대 지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 그는 부산지역 건축물 가운데 25년 이상 된 낡은 건물의 비율은 무려 60.3%에 달해 지진대책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박 의원이 조사한 결과 35년 이상 된 건물도 부산지역 전체 건물의 35.5%인 13만4,000여채나 됐다.

내진 설계 대상인 공공시설물 2,027개 가운데 내진 설계를 적용한 건물은 502개(24.7%)에 그쳤다.

내진 설계가 돼 있지 않은 공공시설물 가운데 공공건축물 961곳, 도로시설 225곳, 도시철도 39곳, 수도시설 44곳, 항만시설 8곳 등은 당장 보강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박 의원은 “한국지질연구원이 5년 내 5.0 수준의 지진이 발생할 것으로 이미 경고했고, 실제 지진이 발한만큼 시내 건축물의 내진보강을 유도할 지원책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