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무장지대로 바뀌는 비무장지대

北, 중화기 반입에 유엔사도 맞대응

비무장지대(DMZ)가 무장지대로 바뀌고 있다. 이는 북한이 정전협정 규정을 어기고 박격포·고사기관총 등 중화기를 반입했기 때문으로 유엔군사령부도 대응용 중화기 반입을 2년 전부터 허용했다는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박근혜 대통령은 취임 초기 DMZ 내에 세계생태평화공원을 조성해 평화와 신뢰를 쌓아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10일 군 소식통에 따르면 유엔군 사령부는 규정 551-4를 통해 지난 2014년 9월5일부터 개인화기를 비롯한 각종 중화기의 DMZ 배치를 허가했다. 유엔군사령관이 DMZ에 반입을 허가한 무기는 개인화기와 7.62㎜ 중(中)기관총, 12.7㎜ 중(重)기관총 및 40㎜ 자동 유탄발사기, 무반동총(최대 57㎜), 60㎜ 및 81㎜ 박격포, 유선 조종식 클레이모어 지뢰·수류탄 등이다.

관련기사



1953년 체결된 정전협정은 DMZ에 개인화기를 제외한 중화기 반입을 허용하지 않고 있다. 유엔사는 DMZ에 이들 무기 반입 허가 배경에 대해 “북한군이 비무장지대 내에 배치한 무기체계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북한군은 DMZ내 GP(소초)에 박격포와 14.5㎜ 고사총 등을 설치해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군 관계자는 “북한의 중화기에 대응용으로 우리도 낮은 수준의 중화기를 배치한 점을 유엔군사령부가 승인한 데 의미가 있다”며 “다만 휴전선 155마일 전역에 걸친 것은 아니고 꼭 필요한 일부 지역만 중화기를 배치했다”고 말했다. /권홍우기자 hongw@sedaily.com

권홍우 논설위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