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中, 비관세 장벽 확대… 사드發 무역보복조치 가능성 우려

현대경제硏, '중국의 대한국 보호무역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

"중국 기준에 맞는 품질 개선과 경쟁력 강화해야"





최근 한국이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를 배치하기로 결정하면서 중국이 비관세 장벽을 더욱 높일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현대경제연구원이 12일 발표한 ‘중국의 대 한국 보호무역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대한국 위생 및 검역(SPS)과 기술장벽(TBT) 건수는 2009~2008년 249건, 507건에서 2009~2015년 887건과 681건으로 급증했다.


한재진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중국의 대한국 비관세 장벽은 반덤핑 조치는 줄었지만, 주로 위생 및 검역과 기술장벽을 중심으로 확대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같은 기간 중국이 우리나라 제품에 대한 반덤핑 조치는 46건에서 8건으로 대폭 감소했다.

관련기사



보고서는 특히 농·축·수산물 등 가공식품에 대한 중국의 통관 거부가 전체 비관세조치의 70%에 이른다고 지적했다. 중국으로부터 통관거부를 당한 가공식품은 2015년 현재 전체 통관거부 품목의 57%인 1,117건에 다다른다. 생활용품과 섬유 및 직품,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등도 통관거부 건수가 크게 증가했다.



보고서는 사드 배치가 이처럼 비관세 조치를 통한 중국의 보호무역 강화 추세에 불길을 댕길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 연구위원은 “중국의 대한국 비관세 장벽이 높아지면 국내 외수 경기 회복에 큰 장애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며 “양국 정부 및 실무자간 협의 채널 마련 등 보호무역 조치에 대한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