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전국 아파트 분양가, 7년 만에 1000만 원 넘어서 ‘총 5곳’

전국 아파트 분양가, 7년 만에 1000만 원 넘어서 ‘총 5곳’전국 아파트 분양가, 7년 만에 1000만 원 넘어서 ‘총 5곳’




전국의 아파트 평균 분양가가 7년 만에 3.3㎡당 1000만 원을 넘어선 가운데 서울 지역의 아파트 분양가는 3.3㎡당 평균 2000만 원을 돌파하며 2008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12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올해(1~7월 누적 기준) 전국 아파트의 평균 분양가는 3.3㎡당 1018만원으로 확인됐다. 2009년 1075만원 이후 7년 만에 1000만 원을 넘어섰다.

전국 아파트 분양가는 2008년 평균 1083만원으로 역대 최고가를 기록한 뒤 2010년 부동산 경기가 침체되면서 974만 원으로 하락했다. 이후 2012년 840만 원까지 내려갔다가 2014년 939만원으로 반등했으며, 지난해에는 986만 원으로 상승세를 유지했다.

전국 시도 중 1000만 원을 넘어선 곳은 총 5곳으로, 이 중 서울이 3.3㎡당 2158만 원을 기록해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어 대구 1220만 원, 부산 1104만 원, 경기 1097만 원, 인천 1020만 원 순.

서울은 올해 3.3㎡당 평균 2158만 원으로 8년 만에 2000만 원을 넘어섰다. 2008년 평균 2171만원을 기록했다. 이는 올해 분양된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 고분양가 때문으로 판단됐다. 지난 1월 분양된 서울 서초구 잠원동 신반포자이의 3.3㎡당 평균 분양가는 4290만 원로 역대 최고가를 찍었다.


2위를 차지한 대구는 ‘대구의 강남’으로 불리는 수성구 범어동 일대에 4개의 아파트가 집중적으로 공급된 영향으로 분석됐다.

관련기사



올해 분양된 수성구 범어동 ‘더하우스 범어’, ‘대구 범어라온프라이빗 2차’, ‘범어동 효성해링턴플레이스’, ‘범어 센트럴푸르지오’ 등은 분양가가 3.3㎡당 1500만∼1600만원대로 높았지만, 1순위 청약 평균 경쟁률이 70∼149대 1에 달할 정도로 높은 인기를 구사했다.

부산은 지난해 초고가 분양으로 논란이 일었던 ‘해운대 엘시티’ 영향으로 3.3㎡당 분양가가 1232만 원까지 치솟았으나 올해는 1104만원으로 떨어졌다.

이 외에 경남은 3.3㎡당 943만 원으로 전국 광역시·도 중 여섯 번째로 분양가가 높았고, 이어 제주(922만 원)·광주(913만 원)·울산(861만 원)·세종(838만 원) 등의 순.

전국에서 평균 분양가가 가장 낮은 곳은 강원도로, 3.3㎡당 705만 원으로 확인됐다.

윤지해 부동산114 과장은 “정부가 중도금 집단대출 규제에 나서면서 분양을 앞둔 강남권 재건축을 중심으로 역대 최고 수준의 분양가격이 점차 떨어지는 분위기”라면서 “부동산 시장 내 불안 심리가 높아지기 전에 부동산시장이 연착륙할 수 있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사진=부동산 114 제공]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