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KAIST-고려대 연구팀, 빛의 산란 이용한 광학기기 개발

홀로그래피 기술 이용해 빛 제어

빛의 진폭, 파장, 편광, 산란까지 통제 가능

박용근·조용훈 한국과학기술원(KAIST) 물리학과 교수, 이헌 고려대 재료공학과 교수 등으로 구성된 공동 연구팀이 빛의 다중 산란 특성을 이용한 광학기기 기술을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다중 산란이란 빛이 안개나 페인트 등 불규칙한 매질을 투과하면 수많은 반사와 굴절이 발생하는 현상이다. 짙은 안개 속에서 앞을 보기 어렵고 맥주 거품이 하얗게 보이는 것이 대표적이다. 연구팀은 홀로그래피(위상이 갖춰진 레이저 광선을 이용해 렌즈 없이 한 장의 사진으로 입체상을 촬영하는 방법) 기술을 이용해 불규칙한 형태로 퍼지는 빛의 방향을 제어한 뒤 원하는 형태로 산란시킬 수 있는 광학기기를 개발했다.


이번에 개발된 광학기기는 광 고분자 필름과 복잡 매질로 구성돼 있다. 광 고분자 필름으로 들어온 빛을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해 원하는 모양으로 제어한 뒤 복잡 매질을 지나 일정한 패턴으로 다중 산란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빛의 진폭, 파장, 편광 뿐만아니라 산란 과정에서 기존 광학계 기술로는 통제하기 어려웠던 근접장(작은 초점을 맞추는 데 필요한 빛의 정보)도 제어할 수 있다.

관련기사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화학회(American Chemical Society, ACS)가 발행하는 나노분야 학술지 ‘에이씨에스 나노’(ACS Nano)의 지난 6월 29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박종찬 학생은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광학기기를 제작하는 원천기술로 활용할 수 있다”며 “앞으로 리소그래피, 광통신, 바이오 이미징 기술 등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빛을 원하는 형태로 산란시킬 수 있는 광학기기 모습/ 사진제공=KAIST-고려대 공동 연구팀빛을 원하는 형태로 산란시킬 수 있는 광학기기 모습/ 사진제공=KAIST-고려대 공동 연구팀




김창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