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서울경제TV] 中 수혜주 ‘사드 후폭풍’에 전전긍긍

[앵커]

미국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사드의 한반도 배치를 놓고 중국의 반발이 심해지면서 국내 경제에 미치는 후폭풍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중국 수혜주중 일부 종목은 지난 8일 급락 이후 오늘 반등에 성공하기도 했는데요. 중국 수혜주에 대한 향후 전망에 대해 보도국 박미라 기자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기자]

안녕하세요.

[앵커]

화장품, 카지노 관련주를 중국 관광객 수혜주로 분류하는데, 최근 이들 종목들의 변동률이 컸다고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정부가 지난 금요일 오전 사드 도입을 발표한 이후 관련 종목들의 주가가 급락했습니다. 지난 금요일 아모레퍼시픽은 4% 이상 급락하며 마감했고, 카지노 관련주인 GKL과 파라다이스는 6%, 5% 하락했습니다.

이같은 약세는 월요일까지 이어지기도 했는데요. 지난 금요일부터 어제까지의 주가 변동률을 살펴보면, LG생활건강이 7.87%, 아모레G가 7%, 카지노 관련주인 GKL은 9.4% 하락했습니다. 같은 기간 코스피 지수가 0.7% 오른 것과 비교하면 화장품 및 카지노 관련 업종의 약세가 상대적으로 두드러졌습니다. 또한, 중국 업체가 삼성SDI 배터리를 장착하는 전기차 생산을 중단했다는 소식에 0.9% 하락하며 3거래일째 약세를 보였고, 삼성SDI와 함께 중국 정부 배터리 인증에서 탈락한 LG화학도 이날 1.18% 하락했습니다.

[앵커]

오늘 중국 관광객 수혜주 움직임은 어땠나요?

[기자]

오늘 이들 종목들은 차별화가 이어졌습니다. 오르는 종목과 하락한 종목, 제자리인 종목도 있었습니다. 전반적인 흐름을 보면 사드 후폭풍으로 이틀간의 급락은 일단 멈춘 모습입니다.


화장품 주에서는 아모레G를 제외하고 모두 반등에 성공했습니다. 아모레G는 0.94% 하락했지만 아모레퍼시픽이 0.47% 올랐고 한국콜마가 0.6%, LG생활건강이 2.48% 반등했습니다.

관련기사



카지노주도 종목별로는 엇갈리는 모습이었는데요. 파라다이스가 지난 월요일 종가에 마감하며 제자리 걸음이었고, GKL은 2% 반등에 성공했습니다. 낙폭이 컸던 종목들 가운데 오늘의 반등으로 하락폭을 다소 줄였지만, 여전히 방향성을 알 수 없다는 측면에서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앵커]

급락세는 일단 진정된 분위기인데, 중국 수혜주들이 사드와 어떤 관계가 있는 건가요?

[기자]

아무래도 화장품과 카지노 업체들은 중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는 곳이 많은데, 우리 정부가 사드 도입을 결정한 이후 중국에서 보복 조치를 취할 거라는 언급을 했기 때문입니다. 왕이 중국 외교부장은 한미 양국이 사드 배치 결정을 한 것에 대해 “그 어떤 변명도 무력하다”며 사드배치에 대한 결정을 재고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중국 관영매체들은 벌써부터 사설과 논평을 통해 한국에 대한 강력한 경제적, 정치적 보복을 단행할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앵커]

사드 이후 국내 소비재업체들의 영향을 어떻게 전망하나요?

[기자]

현재로서는 판단하기 쉽지 않지만, 당장 관광객이 줄거나 반한 감정이 확산되는 것을 유통업체에서는 가장 두려워하고 있습니다. 관광객이 줄면 당연히 국내 면세업계는 가장 큰 타격을 입게 되는데요. 면세비중이 높은 업체일수록 불리할 수 있다는 입장입니다. 하이투자증권의 손효주 연구원은 반한감정이 확산되는 것을 가장 부정적인 시나리오로 꼽고 있는데, 한류로 인한 한국 소비재 관련 업체에는 모두 악영향을 줄 것이란 분석입니다.

실제로 센카쿠 열도 분쟁 이후, 중국 관광당국은 자국 여행업계에 일본에 대한 여행 광고를 자제할 것을 요구하기도 했고, 일본에 희토류 수출을 중단한 바 있습니다.

[앵커]

중국 언론이 언급한 경제적 제재 조치가 현실화될 경우, 우리 기업들의 활동도 위축될 거라는 전망인데, 사드 배치 영향이 장기간 이어지진 않을 거란 의견도 있다고요?

[기자]

네 맞습니다. 사드 배치문제가 정치적인 이슈로 머물 경우 그 영향은 제한적일거라고 분석하는 의견도 있습니다. 메리츠종금증권 양지혜 연구원은 “사드는 미국도 얽혀 있는 문제이기 때문에 중국이 한국만 보복대상으로 삼기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현재 중국이 내수 시장 중심으로 성장을 강화하고 있고, 아직 자국 브랜드의 경쟁력이 뒷받침되지 못한 상황에서 무리한 제재는 오히려 자국 소비를 위축시킬 수도 있다는 분석입니다. 다만, 전문가들은 중국 정부의 움직임과 반한 정서는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습니다.

박미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