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식량난' 베네수엘라, 軍이 식품유통 관리

분배·가격 등 결정권한 부여

저유가로 인한 경제·식량난에 대통령 탄핵까지 겹치며 극심한 혼란을 겪고 있는 베네수엘라가 식품 유통을 군이 관리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12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베네수엘라 정부는 이날 관보에서 생필품에 대한 생산·유통·분배·가격 결정을 모두 담당하는 사령부를 신설해 국방부 밑에 두기로 했다고 밝혔다. 생필품에는 식품·의약품·청소용품이 포함된다. 니콜라스 마두로 대통령은 올해 초 발령한 국가 경제 비상사태 포고령에 근거해 이번 칙령을 발표했기 때문에 야당이 장악한 의회의 승인을 받지 않아도 된다. 야당은 현재 마두로 대통령 탄핵안에 대한 2차 국민서명운동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번 계획에 대해서도 강하게 반대했다.


이번 식량 배급안은 식량난을 타개하기 위한 방법으로 보인다. 베네수엘라는 저유가로 주력 산업인 원유 수출이 타격을 받으면서 지난해 3·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사상 최악인 전년 동기 대비 -7.06%를 기록하는 등 극심한 경제난을 겪고 있다. 경제난은 식량 부족으로 번져 UN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국민 중 하루 한 끼도 못 먹는 사람들의 비율이 11.3%에 이르는 실정이다. 지난 6월 베네수엘라에서는 하루 평균 24건의 시위가 발생했으며 이 중 3분의1은 식품 부족에 따른 것이었다.

관련기사



하지만 전문가들은 마두로 대통령이 생필품 분야까지 민간이 아닌 군부에 넘기면서 경제회복이 더욱 어려워졌다고 분석했다. 주안 파블로 올알퀴안자 베네수엘라 산업연맹 대표는 “이제 공장들이 전부 군대에 의해 작동되면 순식간에 원자재들이 사라지는 현상이 발생할 것”이라며 “마두로 대통령이 경제를 전혀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실제로 베네수엘라 정부는 사업여건 악화를 이유로 철수한 킴벌리클라크의 생산시설을 이달 11일 압류하기로 결정했다.

현재 베네수엘라 군부는 산하에 금융·방송·국영 광산회사까지 담당하고 있어 이대로 가다가는 군사 독재가 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루이스 마누엘 에스컬피 안보 애널리스트는 “마두로 대통령의 권위는 군대에서만 나온다”며 “지금도 완벽한 군사 정부”라고 지적했다.

변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