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추경 효과 지켜보자"…한은, 기준금리 1.25% 동결

7월 금융통화위원회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위원들이 회의에 앞서 얘기를 나노고 있다. /서울경제DB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위원들이 회의에 앞서 얘기를 나노고 있다. /서울경제DB


금융통화위원회가 14일 기준금리를 연 1.25%에서 동결한 것은 추가경정예산안 10조원을 포함한 정부의 20조원 재정보강 방안의 효과를 지켜보겠다는 생각이 담긴 것으로 평가된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달 금통위에서 “재정 조기 집행 폭이 상당히 컸기 때문에 하반기에 가선 재정이 성장의 마이너스 작용이 우려된다”며 “통화, 재정, 구조조정 3박자가 같이 가야 하는데 이번 달에 한은이 먼저 움직이는 것이 좋다고 판단했다”며 전격 금리 인하를 단행한 바 있다. 이후 정부도 발맞춰 추경 10조원을 포함한 20조원의 재정보강안이 담긴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했었다.


이후 발표된 지표는 소폭이지만 개선세를 보이고 있다. 기획재정부도 지난 8일 발간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7월호에서 내수가 개선세를 보이고는 있다는 진단을 내놨다. 6월 백화점 매출액도 지난해 같은 달보다 13.5% 증가했다. 기재부는 국산 승용차 판매, 휘발유·경유 판매가 늘어난 것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기재부는 다만 고양 증가세가 둔화하고 생산도 그간 부진에서 충분히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는 우려도 같이 내놨다.

관련기사



수출도 긍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6월 수출은 감소 폭을 2.7%까지 줄였다.

조선·해운업 구조조정으로 인한 경기 하방의 위험이 커진 상황이긴 하지만 정부가 실업대책 등을 이미 마련했고, 추경까지 내놓은 상황이라 또 다시 금리 인하에 나설 만큼 분위기가 급박하지 않다는 게 금통위의 판단인 것으로 풀이된다.

대외 변수도 나쁘지 않다. 브렉시트(Brexit·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로 인한 글로벌 금융시장의 부안도 수그러든 모습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올해 금리 인상에 나서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중국도 경착륙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크게 줄었다.

김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