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전기차 충전요금 절반 깎고 1톤 전기트럭도 개발한다”

우태희 산업 2차관 정례브리핑

배출권 거래제도 손질·2,000만 가구에 AMI 설치

우태희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우태희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




정부가 기존 충전 기본요금을 반으로 깎고 구매 보조금을 늘려 전기자동차 육성을 본격화하기로 했다. 또 전기차 보급을 가로막는 주행거리를 대폭 확대하기 위해 연구개발(R&D) 투자에도 속도를 내기로 했다.


우태희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은 1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에너지정책 브리핑에서 “2020년까지 전기차를 수출 주력품목으로 육성하기 위해 인센티브, R&D 등의 지원에 속도를 낼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정부는 지난 8일 전기차 구매 보조금을 1,200만원에서 1,400만원으로 올리고 오는 9월 전기차 충전 기본요금을 50% 감면하는 제도를 도입하기로 한 바 있다.


감면 제도 도입시 급속 충전기 요금은 12만원에서 6만원으로 인하된다. 완속 충전 요금은 1만9,000원에서 9,500원으로 내린다.

관련기사



아울러 정부는 전기차 주행거리를 2배 확대할 수 있는 리튬이온전지 기술 개발을 이달 말 착수하고 2020년까지 1톤 규모의 전기 트럭도 개발할 계획이다.

온실감스 감축을 위한 배출권 거래제도 손질된다.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는 이산화탄소와 메탄, 이산화질소 등 6개 온실가스를 이산화탄소 기준으로 환산해 배출권을 사고파는 제도로 작년 1월 도입됐지만 업계에서는 반도체, 석유화학 등 업종에 배출권 할당량이 부족하다고 지적하는 등 제도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돼왔다. 정부는 업체의 조기감축실적 인정 범위를 확대하고 배출권이 부족한 업종에 대한 배출권 재할당 등을 검토할 방침이다.

우태희 차관은 “기획재정부 등 관계부처와 협의해 제도 개선을 추진할 예정”이라며 “중장기적으로 산업계의 온실감스 자발적 감축을 유도하기 위해 지원제도를 확충하고 감축 노력을 더 확대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력시스템 효율화를 위해 대규모 투자를 통한 스마트계량기(AMI) 구축에도 나선다. AMI가 구축되면 전기사용량이 사용자에 실시간으로 제공되고 원격으로 자동 검침도 한다. 정부는 올해 1,900억원을 투입 건물, 빌딩 등 230만호에 AMI를 구축하고 2022년까지 총 1조5,000억원을 투자해 2,000만호에 AMI를 설치할 계획이다.

/세종=박홍용기자 prodigy@sedaily.com

박홍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