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만파식적] 몽골말

1915A38 만파1915A38 만파




칭기즈칸의 몽골군은 25년이라는 최단기간에 10만명에 불과한 소수 정예군으로 태평양에서 지중해에 이르는 대제국을 건설했다. 이제껏 없었고 앞으로도 없을 정복의 역사를 만든 주인공은 몽골말의 뛰어난 기동력으로 무장한 기마군단이다. 서양말은 키가 커 보기만 좋지 관절이 약해 급회전이나 급제동 면에서 몽골말에 비해 뒤처진다. 지구력도 차이가 커 서양말은 고작 몇 ㎞를 달리면 쉬어야 하지만 몽골말은 하루에 100㎞를 움직일 수 있었다. 여기에 더해 유럽 기마군단은 기사와 말이 모두 철갑을 둘러 무게가 100㎏이 넘는 중무장 상태였으니 서 있기도 힘들 정도였다. 이에 비해 무장을 거의 하지 않은 몽골 기마군단은 바람처럼 움직이며 마상에서 활과 칼을 자유자재로 구사하니 자웅을 겨룰 필요도 없었을 것이다.


몽골말은 기원전 6,000~5,000년께부터 중앙아시아에서 가축화되기 시작했다. 몽골인은 그들의 역사 이전부터 몽골말과 함께 초원을 돌아다니며 유목민으로 살아왔다. 말 위에서 태어나 말 위에서 자라고 죽는다는 뜻의 ‘마상생 마배장(馬上生 馬背長)’이라는 표현을 보면 몽골말이 몽골인의 삶에서 얼마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지 알 수 있다.

관련기사



몽골말은 우리와도 관계가 깊어 제주도에 자생하는 조랑말의 선조가 된다. 고려를 침략한 몽골군은 1276년 제주도에서 마지막까지 항거하던 삼별초를 제압한 뒤 몽골말 160마리를 데려와 방목했다. 조랑말이라는 단어도 상하 진동 없이 달리는 ‘조로모로’ 주법이라는 몽골어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박근혜 대통령이 제11차 아시아·유럽 정상회의(ASEM) 주최국인 몽골로부터 몽골말 선물을 받았다. 박 대통령은 운송이 어렵다고 보고 현지 위탁관리를 하기로 했다는 소식이다. 양국은 이번에 사실상의 자유무역협정(FTA)인 경제동반자협정(EPA)을 추진하기로 했다. 세계를 누빈 몽골말보다 더 많은 나라를 달리고 있는 우리의 자동차가 EPA를 계기로 몽골에서 몽골말만큼 대접받기를 기대해본다. /한기석 논설위원

한기석 논설위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