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강원도·수도권 패트리엇 연차 개량 ‘스와핑’

“요격고도 높고 명중률 뛰어난 직격형 PAC-3로 개량작업 진행중”


수도권 배치 패트리엇, 2022년까지 모두 PAC-3로 교체 계획



군은 강원도에 배치된 패트리엇 PAC-2를 2018년까지 PAC-3로 개량, 수도권으로 이동 배치할 계획이다. 대신 수도권에 있던 PAC-2는 강원도의 기지로 이동하되 2022년까지 PAC-3로 성능을 개량하기로 했다.


군의 한 관계자는 19일 “패트리엇 성능 개량 1차 사업으로 강원도의 한 기지에 배치된 패트리엇 PAC-2를 요격고도가 높고 명중률도 뛰어난 PAC-3로 개량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군은 2018년께 성능 개량작업이 완료되면 이 패트리엇 미사일을 수도권의 한 기지로 가져와 배치할 계획이다. 군은 중첩 방어를 위해 수도권에서 복수의 패트리엇 기지를 운용 중이다.

관련기사



군 관계자는 “개량사업 중에도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할 조짐이 있으면 작업을 잠시 중단하고 작전에 투입할 수 있다”고 말했다. 비수도권 기지에는 수도권 기지에 있던 PAC-2가 대신 배치된다. 예산 등의 이유로 비수도권 패트리엇 미사일의 PAC-3 성능개량 계획은 아직 구체화되지 않았다.

PAC-2는 적의 미사일 근처에서 터져 탄두의 파편으로 미사일을 요격하는 방식으로 요격고도가 15∼20㎞로 낮고 명중률도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반면, PAC-3는 적의 미사일을 직격하는 방식으로 요격고도도 30∼40㎞로 높고 명중률도 뛰어나다.

군 관계자는 “두 발의 PAC-3 패트리엇을 쏘면 90% 이상의 확률로 적의 미사일을 요격할 수 있다”면서 “수도권의 패트리엇이 모두 PAC-3로 업그레이드되면 지금보다 더욱 강력한 방공 능력을 갖추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군 당국은 수도권 이남을 겨냥하는 북한의 탄도미사일 공격은 경북 성주에 배치될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로 방어하고, 수도권은 한국군과 주한미군에 배치된 패트리엇으로 방어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수도권에서 북쪽으로 100㎞ 떨어진 지역에 배치된 북한의 스커드 미사일은 고도 20∼60㎞로 날아 발사 5분 이내에 수도권에 도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드의 요격고도(40∼150㎞)보다 패트리엇의 요격고도(15∼40㎞)와 겹치는 부분이 많다.

/권홍우기자 hongw@sedaily.com

권홍우 논설위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