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인천 로봇랜드, 부가가치 4조라더니…민자유치 '0' 8년째 표류

인천시, 토지가격 높게 책정해 민간서 참여 주저

특수목적법인도 자본잠식…도시공사에 개발 이관

향후 사업 불투명…"관리감독 부재로 혈세만 낭비"

지난 2013년 인천 청라국제도시에서 열렸던 로봇랜드 조성 사업 착공식 모습. 당시 착공식에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로봇 산업 관계자, 시민 등이 대거 참석해 높은 기대감을 반영했지만 사업은 지지부진하다.  /서울경제DB지난 2013년 인천 청라국제도시에서 열렸던 로봇랜드 조성 사업 착공식 모습. 당시 착공식에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로봇 산업 관계자, 시민 등이 대거 참석해 높은 기대감을 반영했지만 사업은 지지부진하다. /서울경제DB




정부가 야심 차게 추진했던 ‘인천 로봇랜드’ 사업이 8년째 표류하고 있다. 인천 청라국제도시에 대학과 기업의 연구개발(R&D) 센터, 호텔 등 복합 로봇 테마파크를 짓겠다던 장밋빛 청사진을 뒷받침할 민자 유치가 하나도 되지 않으면서 애초 계획은 완전히 어그러졌다. 사업 마무리 시점이 2017년까지 4년이나 연기됐지만 이마저도 불투명해 보인다.


19일 산업통상자원부와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인천시에서 추진하는 인천 로봇랜드 사업이 민간투자자 부재로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로봇랜드는 인천 원창동 청라지구 5블록 76만7,286㎡에 총 6,704억원을 투입해 로봇 관련 연구소와 로봇대학원, 테마파크, 대규모 호텔 및 상업시설 등을 짓는 대규모 국책사업이다. 사업시설은 로봇산업지원센터 등 공공시설과 호텔, 테마파크 등 상업시설로 나뉘며 주무부처인 산업부는 사업시행자인 인천시와 595억원씩 공공시설 비용을 분담할 계획이다. 상업시설에 투입되는 나머지 5,514억원은 민자를 활용할 예정이었다.

관련기사



지난 2010년 지식경제부(현재 산업통상자원부)는 인천 로봇랜드의 청사진을 공개하며 로봇랜드 조성을 통해 매년 400만명의 관람객을 유치하고 연간 1만9,000명의 고용 창출 효과를 내겠다고 공언했다. 그러면서 로봇랜드의 부가가치 유발 효과는 4조900억원, 생산 유발 효과는 9조2,859억원에 달할 것이라는 장밋빛 청사진을 내놓았다.

2015A02 인천 로봇랜드 개요2015A02 인천 로봇랜드 개요


하지만 현실은 참담하다. 애초 2013년 개장할 목표였던 로봇랜드는 사업 종료 시점이 2017년까지 밀린 상태다. 사업이 제대로 마무리될 수 있을지 기약하기도 어렵다. 재정난에 허덕이는 인천시가 토지 가격을 높게 책정한 탓에 선뜻 상업시설을 개발하겠다고 나서는 민간 사업자가 없기 때문이다. 상황이 이러니 인천시와 민간 사업자가 2009년 설립한 특수목적법인(SPC) ‘인천로봇랜드’는 최근 자본잠식에 빠진 것으로 알려졌다. 인천시는 인천 로봇랜드와의 계약을 종료하고 인천도시공사에 개발을 맡긴다는 복안이지만 기존 주주사의 반발을 잠재우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예산 당국의 원칙 없는 타당성 조사와 주무부처의 관리·감독 부재가 애꿎은 혈세 낭비를 초래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기획재정부는 2008년 8개월간 인천 로봇랜드 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를 시행한 후 사업 타당성을 인정한 바 있지만 현재 사업 부지에는 중앙정부 예산 408억원이 투입돼 공공시설 공사만 진행되고 있다. 한성진 국회예산정책처 예산분석관은 “인천 로봇랜드는 수익시설에 대한 민간 투자금액이 총 5,514억원에 달하지만 현재까지 유치된 돈이 전혀 없다”며 “사업이 더는 지연되지 않도록 정부 차원에서 철저한 사업 관리에 나서야 한다”고 조언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민간 투자 유치가 부진해 인천시에서 계속 공사 기간을 연장해달라고 요청하고 있다”며 “인천시 자체적으로 민간 투자 확산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세종=박홍용기자 prodigy@sedaily.com

박홍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