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한국형 발사체 목표연소시간 초과달성

2초 넘은 '145초' 성공

지난 6월 8일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진행됐던  한국형발사체 75t급 추력 로켓엔진 연소시험 장면, 당시 75초 연소에 성공한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이후 한달여만인 7월 20일 오후 목표치를 넘어선 145초 연소에도 성공했다. /사진제공=항우연지난 6월 8일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진행됐던 한국형발사체 75t급 추력 로켓엔진 연소시험 장면, 당시 75초 연소에 성공한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이후 한달여만인 7월 20일 오후 목표치를 넘어선 145초 연소에도 성공했다. /사진제공=항우연


2020년 무인 달 탐사를 위해 개발 중인 한국형 발사체(KSLV-2)의 핵심 로켓엔진이 연소목표시간보다 초과 달성에 성공했다.


20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이날 오후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한국형 발사체의 1~2단 로켓에 쓰이는 추력 75t급의 엔진에 대해 145초간의 연소시험을 성공적으로 실행했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6월 8일 시험에서 75초간 연소시험을 마친 후 불과 한달여만에 목표 연소시간(143초)보다 2초 넘어선 경지까지 시험을 마친 것이다.

관련기사



항우연은 이번 시험으로 75t급 엔진의 연소시간 목표를 이룬 만큼 앞으로는 실제 비행시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환경에서 문제 없이 작동하는 지 등을 검증하는 쪽으로 시험의 방향을 전환할 예정이다. 항우연의 김진한 발사체엔진개발단장은 “발사체가 비행 중에는 연료탱크 등의 내부 압력이 떨어지기도 하고 중력가속도에 따라 아래 방향으로 압력이 집중되기도 해 엔진의 연소실로 뿜어지는 추진제(로켓 연료 및 산화의 통칭)의 상태가 수시로 바뀐다”며 “이처럼 다양한 변화 조건을 모사한 환경을 인공적으로 적용해 로켓이 정상 작동하는 시험할 것”이라고 말했다.

항우연의 75t급 엔진은 지금까지 총 14차례 연소시험(누적 연소시간 306.5초)을 거쳤으며 이를 포함해 앞으로 총 220차에 이르는 시험을 거치게 된다. 한국형 발사체는 3단 로켓으로 구성는데 이중 1단에는 75t급 엔진을 4개 묶은 클러스터엔진이 사용된다. 2단에는 75t급 엔진 1개, 가장 상층인 3단에는 7t급 로켓이 탑재될 예정이다.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